“만약 서울에 북한산이 없었으면 어떻게 됐을까?”

쓸데없는 가정을 한 번 해본다. 북한산이 품고 있는 울창한 숲, 아름다운 풍광, 풍부한 문화유산 등등... 이런 것들이 사라진다면 서울은 정말 밋밋한 도시가 됐을 것이다. 생각만 해도 끔직하다. 그만큼 서울 사람들은 북한산의 덕을 제대로 보고 있는 셈이다. 이번편은 진관사에 대한 글인데 이 진관사도 북한산이 품고 있는 문화유산 중에 하나다.

* 진관사 극락교

● 삼각산이라 불렸던 북한산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북한산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자. 북한산은 예전에 삼각산(三角山)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알려졌었다. 세 개의 봉우리가 삼각뿔처럼 생겼다하여 삼각산이라고 불린 것이다. 그 세 봉우리는 백운대(837m), 인수봉(810m), 만경대(800m)이다. 예전에 봉우리 이름을 외우려고, 앞 글자를 따서 ‘만백인’으로 외웠었다.

그런데 지금 보니 ‘백만인’이 더 잘 머릿속에 남을 거 같다. 한편 북한산의 정상은 인수봉이 아닌 백운대다. 인수봉이 유명해서 그런지 인수봉이 최정상인지 알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렇지가 않다. 더군다나 인수봉은 일반 등산으로는 오르지 못하고 클라이밍 장비로 암벽 등반을 해야만 도달할 수 있다.

다른 산들도 마찬가지겠지만 북한산도 동서남북이 제각각이다. 삼각뿔이 자리 잡고 있는 동쪽은 높은 봉우리들이 장벽처럼 연이어 서 있다. 이에 비해 서쪽은 비교적 낮은 봉우리들이 올망졸망하게 늘어서 있다. 그렇게 동서간의 고도차이 때문인지 북한산의 물길은 동쪽보다는 서쪽이 더 완만하다. 계곡트레킹을 하기에도 서쪽편이 더 낫다.

이번에 탐방할 진관사도 북한산의 서쪽에 있다. 진관사를 가려면 3호선 구파발역에서 진관사행 시내버스를 타면 쉽게 도달할 수 있다. 15분 정도 타고 이동을 하는데 차창밖 풍경이 예뻐서 지루하지가 않다. 다른 방법도 있다. 6호선 독바위역에서 하차한 후 진관뉴타운 방면으로 북한산둘레길을 따라 걸으면 진관사에 도달할 수 있다. <진관사 역사트레킹>을 이렇게 행하는데 볼거리도 많고, 문화유산도 많아서 많은 이들에게 별표 5개를 받고 있다. 진짜다.

 

“와! 멋지네요. 서울에 이렇게 큰 한옥마을이 있었어요?”

“네 있었어요. 한옥하고 북한산하고 잘 어울리죠.”

버스 정류장에 내리면 진관한옥마을이 탐방객들의 눈을 사로잡는다. 진관한옥마을은 진관뉴타운의 일환으로 만들어졌는데 수도권에서는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한옥마을이다.

* 진관사: 대웅전 앞에 쌍석등이 있다.

 

● 서울의 4대 명찰 진관사

진관사는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4대 명찰 중에 한 곳이다. 4대 명찰은 조선 세조 때 왕실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서쪽에 진관사, 동쪽에 불암사, 남쪽에 삼막사, 북쪽에 승가사를 지정하였다. 왕실의 번영을 위해 지정된 사찰들이었기에 이 사찰들은 명찰이라 불리며 승격이 높았다.

일주문과 불이문을 지나 진관사 경내로 들어가자. 초가지붕을 얹은 연지원에서 흘러나오는 향긋한 차향에 이끌리어 발걸음을 멈추지 말자. 바로 대웅전으로 이동하자.

 

“와, 좋네요. 무언가 탁 트인 느낌이에요.”

“뒤쪽에 있는 봉우리하고 대웅전하고 잘 어울려요.”

 

수강생들은 이구동성으로 감탄사를 외쳤다. 진관사는 계곡 지형에 위치해 있는데 대웅전 뒤쪽편의 봉우리는 비교적 아담하지만 상류쪽으로는 높은 봉우리가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탁 트인 시야와 웅장한 모습을 동시에 느낄 수가 있는 것이다.

대웅전 앞에서는 매번 이런 해설을 했었다.

“진관사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사찰인데요. 보시다시피 본당인 대웅전 앞에 탑이 없고, 대신 석등이 2개가 있어요. 통상적인 가람 구조에서 벗어난 형태에요.”

옛 사찰들은 본당 앞에 탑을 세웠다. 본당 하나에 탑이 하나있는 것을 1당 1탑이라고 한다. 1당 2탑도 있다. 말 그대로 하나의 본당 앞에 쌍탑이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진관사의 대웅전 앞에는 탑 대신에 쌍석등이 자리를 잡고 있다. 그래서 통상적인 가람 구조에서 벗어났다고 말한 것이다. 있어 보이려고, ‘에헴’하고 헛기침도 하면서 해설을 했지만...

“곽작가님, 우리 빨리 단체 사진 찍어요.”

해설 실력이 약하나? 꼭 그렇지는 않은데. 그래, 어차피 해설도 하고 사진도 찍어주고 그런 것이다. 참고로 ‘가람(伽藍)’은 승려가 모여 수행을 하는 장소를 말하는데 불교 사찰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

 

* 진관사

● 진관대사를 위해 세운 진관사

진관사(津寬寺)는 1010년, 고려 현종 2년 때에 만들어졌다. 처음에는 신혈사로 불렸던 진관사는 고려 제8대 왕인 현종이 진관대사를 위해 직접 세운 절이라고 한다. 당시 왕위계승 1순위였던 현종은 어려서 대량원군(大良院君)으로 불렸었다.

그런데 헌애왕태후로 불리기도 했던 천추태후(千秋太后)에게 미움을 받았다. 천추태후는 5대왕 경종의 부인이자 7대왕 목종의 어머니였는데 아들인 목종이 후사가 없자 자신의 다른 아들을 왕위에 앉힐 생각이었다. 당시 애인인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왕에 올릴 생각이었던 것이다. 대량원군을 위협하는 천추태후의 검은 그림자는 더욱더 짙어져갔다.

원래 신혈사는 진관 스님이 홀로 수행을 하는 곳이었는데 천추태후는 강제로 대량원군을 이곳에 보내기로 한 것이다. 사람들 시선을 피할 수 있는 외진 곳이니 자객을 보내기도 좋았을 터. 하지만 진관 스님은 이런 음모를 간파했고, 수미단에 굴을 파서 대량원군을 숨겨놓는 기지를 발휘했다. 수미단은 불상을 올려놓는 단을 말한다. 불교에서 세계의 중심으로 일컬어지는 상상속의 산인 수미산을 형상화한 것이다.

3년 뒤인 1009년에 대량원군은 개경으로 돌아가 왕위에 오른다. 서북방을 지키던 강조가 정변을 일으켜 목종을 폐위하고 대량원군을 등극시킨 것이다. 고진감래라고 천추태후의 탄압을 끝까지 견뎌냈기에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끝은 아니었다. 현종 때에는 2번에 걸쳐 거란이 침공을 해왔다. 목종을 폐위시킨 강조의 정변을 구실로 거란의 2차 침입이 1010년에 있었고, 8년 후에는 3차 침입이 있었다. 2차 침입 때는 요나라 성종이 직접 40만 대군을 이끌고 침입한 터라 현종은 전라도 나주까지 피난을 가야했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민족인가. 당하고만 있던 민족인가. 조일전쟁(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있었다면 거란과의 전쟁 때는 강감찬 장군이 있었다. 1018년에 있은 3차 침입 때 강감찬 장군은 귀주에서 승전보를 울렸다. 그것이 바로 그 유명한 귀주대첩이다.

진관사 이야기를 하다가 고려 초기 거란과의 항쟁까지 언급하게 됐다. 뭐 이러면서 하나라도 더 익히면 좋지 아니한가. 우리가 역사트레킹을 혹은 답사여행을 행하는 것도 현장에 직접 가서 하나라도 더 배우려고 하는 거니까.

진관사는 한국전쟁 때 많은 전각들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는다. 빨치산이 지리산에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북한산에도 있었다. 그런 와중에 나한전, 칠성각, 독성전은 전쟁의 참화를 피하게 된다.

* 진관사

● 일장기에 덧그린 태극기가 발견되다

2009년도였다. 오래된 칠성각을 해체복원하다 뜻밖의 문화재가 발견된다. 일장기 위에 태극문양을 덧그린 태극기가 발견된 것이다. 태극문양이 지금처럼 상하대칭이 아닌 좌우대칭으로 그려진 독특한 형태의 태극기였다. 이 태극기를 숨겨놓으신 분은 바로 백초월 스님이셨다.

일제강점기 당시 진관사에 주석하시던 백초월 스님은 한용운 스님, 박용성 스님과 함께 항일운동에 적극적이셨던 불교계 인사였다. 1944년 형무소에서 옥사하실 정도로 백초월 스님은 끝까지 항일 의지를 꺾지 않으셨던 분이다. 31운동 경, 일제 경찰에 잡혀가기 전에 숨겨놓은 태극기였으니 무려 90년 만에 세상에 다시 나온 태극기였다.

 

“삼각산이 조선이면 왜놈은 계란이다. 계란으로 삼각산을 아무리 친다한들 삼각산은 끄떡없다.”

 

백초월 스님의 어록이다. 구구절절이 옳으신 말씀이다. 전세계에 있는 계란을 다 친다고해도 북한산은 꿈쩍도 하지 않을 거다.

이렇게 하여 진관사 탐방은 종료된다. 좀 아쉬우시면 위쪽에 있는 진관사 계곡에 잠시 다녀오시는 것도 좋을 듯싶다. 나름대로 아기자기한 계곡이라 잠시 머리를 식히기에 딱인 곳이다.

북한산, 4대 명찰, 진관대사, 현종, 천추태후, 거란, 강감찬, 백초월 등등... 진관사에 이렇게 많은 이야기 거리들이 있다. 본 글에 언급하지 못한 유명한 진관사 수륙재도 있다. 그러니 가보면 좋다.

 

 

 


 

 

 

 

■ 진관사 탐방

1. 세부코스: 진관한옥마을 ▶ 진관사 ▶ 진관계곡

2. 가는법: 3호선 구파발역에서 진관사행 시내버스 탑승. 약 15분 정도 소요됨.

3. 같이 가면 좋을 곳: 기자촌 근린공원 / 화의군 묘역

* 진관사 탐방지도: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 지도임.

 

 

 

 










2019년 11월 27일에 행한 진관사 역사트레킹에서...

6호선 독바위역에서 내려 북한산 둘레길 서편을 쭈욱~
따라 걷는길. 이곳은 내시와 상궁들의 묘역이 많다.
그래서인지 버려진 석물들도 많다. 

쌍으로 서 있어야 할 문인석이지만... 저 문인석은 홀로
외롭게 서 있었다. 대신 내가 저 옆에 서 열심히 무언가를 설명했다. 

그 순간을 수강생분이 찍어주셨다. 
너무 잘 찍어주셔서 올해의 포토인감?ㅋ






                                                                                                                                                                                            




  * 대서문: 북한산성 대서문





펀딩해서 돈 좀 만지셨수?

풍광이 수려한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

) --> 

올해는 펀딩과 함께 했다. 이 말이 과언이 아닐 정도로 난 올 한 해 스토리펀딩에 많은 에너지를 쏟아 부었다. 323일부터 108일 동안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을 진행했었고, 91일부터는 본 프로젝트인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을 무려 111일에 걸쳐 진행하고 있다.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이 종료를 앞두고 있는 이 시점까지도 난 가끔 이런 생각에 빠진다.

) --> 

내가 펀딩을 한 게 잘 한 건가?’

) --> 

어쩌면 트레킹이라는 주제는 스토리펀딩에 적합하지 않은 테마일 수 있다. 아무리 앞쪽에 역사혹은 서울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다고 하더라도 트레킹이 주는 그 자체의 무게감이 그리 크지 않기 때문이다. 공익적으로 중차대한 문제를 다루는 것도 아니고, 독자의 눈가에 감동의 폭포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주제도 아니라는 뜻이다. 그래서 종종 이런 반응도 접하게 된다.

) --> 

개나 소나 다 펀딩질 하며 돈 구걸하네. 너희 놀고먹는 일에 돈까지 내라고!”

) --> 

그런 오해들이야 애초부터 감수를 했지만 그래도 막상 그런 반응들을 접하면 씁쓸해지는 건 어쩔 없는 노릇이다. 그런 오해를 극복할 수 있는 뾰족한 수가 없었다. 그저 묵묵히 글을 발행하는 것밖에. 그래서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에서는 17편의 글을 발행했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게으름 때문인지 6편 밖에 작성하지 못했다.

이번 글은 7편째다. 지난 1113일에 행한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에 대한 이야기다.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은 천년 고찰인 진관사에서부터 시작된다.

) --> 






 *트레킹팀: 숲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들.



 





) --> 

기막힌 스토리가 숨어 있는 진관사

) -->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4대 명찰이 있다. 동쪽에 불암사, 남쪽에 삼막사, 북쪽에 승가사. 그럼 서쪽은? 진관사다.

천년 고찰인 진관사(津寬寺)는 고려 현종 때인 1010년에 만들어졌다. 고려 제8대 왕인 현종이 직접 창건한 이 절은 진관대사를 위해 세워졌다고 한다.

태조 왕건의 손자였던 현종, 즉 왕순은 어릴 적에는 대량원군(大良院君)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왕건의 손녀였던 천추태후로부터 어릴 적부터 박해를 받은 왕순은 한때 강제로 승려가 되기도 하였다. 천추태후가 그의 이모가 되기도 했는데 이것은 당시 얽히고설킨 왕실혼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 같은 왕건의 혈통이자 이모뻘의 천추태후로부터 살해위협까지 받게 된 건 그가 왕위계승자였기 때문이다. 당시 천추태후는 애인인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이를 왕으로 등극시킬 셈이었다.


그런 천추태후의 마수가 진관사에까지 뻗치게 됐다. 원래 진관사 자리에는 신혈사라는 사찰이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진관이라는 승려가 홀로 수도를 하고 있었다. 승려가 홀로 거처하는 곳이라 천추태후 입장에서는 무언가 거사를 치르기에 적당한 곳이라고 생각했던 모양이다. 그랬다. 천추태후는 신혈사에 자객을 보내 왕순을 죽일 셈이었다.

천추태후의 의도대로 왕순이 자객에 손에 비명횡사를 했다면, 현종도 탄생되지 않았을 것이고, 지금의 진관사도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진관사: 대웅전









천추태후의 의도를 눈치 챈 진관은 본존불을 안치한 수미단 밑에 굴을 파서 왕손을 숨기는 기지를 발휘한다. 수미단은 불상을 올려놓는 단을 말한다. 수미산은 불교에서 말하는 상상의 산을 말하는 것이고.


그렇게 진관에 의해 목숨을 건진 왕순은 3년 뒤, 개경으로 돌아가 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고려 8대 왕 현종이다. 현종은 1010, 신혈사 자리에 대가람을 세우고 진관 대사의 이름을 본 따서 사찰 이름을 지으니 그 사찰이 바로 지금의 진관사다.

 

조선시대 진관사는 사가독서제로 애용된 곳이다. 사가독서제란 젊은 관료들에게 휴가를 주어 학문에 정진하게 만든 제도로 세종시대에 처음 도입되었다. 풍광이 수려하고 계곡이 시원한 진관사라면 학문을 닦기에 제격이었을 것이다. 그렇게 사가독서제로 진관사를 다년간 이들은 성삼문, 박팽년, 신숙주 등이었다.

진관사는 한국전쟁동안 많은 전각들이 소실된다. 그래서 지금의 진관사는 천년고찰의 웅장함이 묻어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진관사는 많은 이들의 발걸음을 모으고 있는 사찰이다. 진관사 숲길과 계곡을 걷다보면 몸도 마음도 깨끗이 씻겨 내려가는 느낌을 받게 된다. 그런 느낌들이 좋아서 발걸음들이 진관사로 향하는 것이 아닐까? 트레킹팀도 그런 좋은 기운을 받으며 다음 코스인 대서문으로 방향을 잡아갔다.

) --> 







 * 진관사: 아름다운 북한산과 어우러진 진관사.






 

) --> 

풍광이 수려한 북한산계곡에서

 

대서문은 북한산성에 있는 14개의 성문 중 서쪽에 있는 성문을 말한다. 높은 고도에 위치해 있는 대동문, 대남문 등과 달리 대서문은 해발고도가 낮아 접근성이 매우 좋다. 북한산둘레길 코스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거리가 가까워, 둘레길과 묶어서 탐방할 수도 있다. 트레킹팀이 그렇게 탐방을 했다.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북한산성은 1711(숙종37)에 축조된 것이다. 물론 그 이전에도 북한산에는 산성이 존재했었다. 백제시대에는 위례성의 북쪽 방어성으로 산성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이후 본격적인 삼국 항쟁시기에는 북한산을 두고 각국 간에 치열한 쟁탈전이 벌어졌었다.

그 항쟁의 증거 중에 하나인 진흥왕 순수비가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있다. 정확히는 지금 비봉에 세워진 순수비는 진품이 아니고, 순수비가 세워져 있다는 것을 알리는 알림석이다. 진품은 훼손을 막기 위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로 비봉은 앞서 언급한 진관사에서 그리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거리는 가깝지만 경사도는 상당히 가파르다. 답사에 참고하시라!

) --> 





 * 북한산계곡




 

우리 북한산계곡에 와 있습니다. 정말 시원스럽지 않습니까?”

) --> 

원효봉이 시원하게 바라다 보이는 계곡에서 나는 이렇게 입을 열었다.

) --> 

저기 성벽 구간, 무너진 성벽 구간이 보이시죠? 원래 이 곳에는 수문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는 수문을 통해서 계곡 이쪽에서 저쪽으로 넘어갈 수 있었다고 합니다.”

) --> 

북한산성에는 대서문 같은 7개의 대문과 6개의 암문, 그리고 한 개의 수문이 있었다. 이를 두고 북한산성 14성문이라고 말한다. 대문과 암문은 복원이 되고 해서 실재하고 있지만 수문은 소실된 상태다.

) --> 

아참, 북한산성은 포곡식 산성입니다. 포곡식이라는 건 계곡을 끼고 있는 산성이라는 뜻이죠. 성이 만들어지면 음용수 때문에 골치를 썩잖아요. 그런면에서 계곡을 끼고 있는 북한산성은 물 공급면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었죠.”

진짜 그랬겠네요.”

하지만... 보시다시피 계곡이 있다 보니 풍수해에 취약해요. 그래서 저 앞에 수문이 떠내려가 버렸잖아요.”

그러네요.”

) --> 






 * 북한산성 수문터: 북한산성 수문은 북한산계곡에 놓여 있었다.

 

) -->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 펀딩을 마치며

) --> 

풍광이 수려한 북한산계곡 탐방을 끝으로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도 무사히 종료가 됐다. 더불어 후원자들과 5번에 걸쳐 함께한 리워드 트레킹도 무사히 종료가 됐다.


이제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도 마칠 때가 됐다. 글 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2016년 한 해는 펀딩과 함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나는 다른 프로젝트들과 달리 리워드를 트레킹 초대형식으로 제공했다. 에코백이나 머그컵 같은 것을 드리는 것도 좋지만 내가 잘하는 것을 리워드로 제시하자는 의미에서 그렇게 한 것이다.

그래서 실제로 5번에 걸쳐 직접 후원자들과 만나 트레킹을 행했었다. 내 리딩 방식이 마음에 드셨는지 그중에는 중복 참여를 하신 분들도 여럿 계셨다. 어떤 분은 5번 다 참가를 해주시기까지 했다. 내년에도 스토리펀딩에 트레킹 프로젝트를 개설해달라고 강력하게 주장하시는 분도 계셨다.

글을 끝내기 전에... 누군가 이렇게 물으실 수도 있을 것이다.

) --> 

펀딩으로 올 한 해를 때웠다고 하는데... 그래서 돈 좀 만지셨수?”

) --> 

난 이렇게 대답하련다.

) --> 

돈 벌려고 펀딩합니까? 그냥 사람들이 좋아서 펀딩한 거지. 어차피 실비 빼면 마이너스에요. 그래도 하는 건 트레킹이 좋고, 사람들이 좋아서 하는 거에요. 그런 게 세상사는 맛 아니겠어요? 당신도 기회 되시면 서울트레킹에 참여해보세요. 제가 김밥이랑 물 챙겨 드릴 테니까!”

) --> 


 




* 트레킹팀: 앞에 보이는 봉우리는 원효봉이다.









        * 대서문: 대서문의 여장. 특이하게도 일체형이다.













 *참가자: 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









2016년 11월 13일 일요일.


이날은 참 특별한 날이었습니다. 적어도 저에게는 그랬습니다.


드디어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 펀딩의 리워드 트레킹이 마지막으로 실시된 날이었으니까요.


여기서 잠깐! 앞에서도 계속 언급을 했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도 있을 거 같아 다시 설명을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저는 지난 9월부터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함께 걷는 서울트레킹>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한마디로 트레킹을 주제로 펀딩을 하고 있는 것이죠. 그런데 펀딩을 받으면 저는 후원자들에게 무언가 답례를 해야 합니다. 이것을 두고 '리워드'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제게 돈을 주신 분들에게 무언가를 건네드려야 한다는 뜻입니다. 세상에 공짜는 없으니까요!^^


다른 펀딩을 진행하시는 분들은 에코백이나 엽서, 도서 등을 리워드로 많이 제시하더군요. 하지만 저는 트레킹을 잘하니 '북악산트레킹 초대' 같은 식으로 리워드를 제공했습니다. 유형의 물질을 드리는게 아니라 무형의 것을 제공한 셈이죠.


그렇게 리워드 트레킹이 진행되었고, 결국 이날 마지막 트레킹인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이 실시된 것입니다.


순조로운 해피엔딩은 없었던 것인지 , 아침부터 좀 삐그덕거렸답니다. 오전 10시경 집합장소인 구파발역에 가봤더니 갑자기 '헉' 소리가 나더군요.


구파발역에서 시작점인 북한산성 입구까지 가려면 버스를 타야 하는데... 등산객들이 워낙 많았던 터라 버스를 탈 수 없었던 것입니다. 출퇴근 시간의 지하철을 빰칠 정도로 콩나물 시루 같았습니다. 정말 탈 수 없었습니다.


"차라리 종료점인 진관사에서 출발하는 걸로 하겠습니다. 역순으로 가겠습니다."


저는 이 말을 하고 진관사 가는 버스에 올랐습니다. 진관사행 버스는 북한산성행 버스에 비하면 천국이었습니다. 사람들이 별로 없었으니까요. 어떻게 보면 제가 순발력 있게 잘 대처한 듯했습니다.


정방향이면 어떻고 역방향이면 어떻습니까! 앞뒤를 바꿔서 시작해도 상관없는 게 트레킹의 묘미잖아요!


진관사를 출발해 북한산성입구, 대서문, 북한산계곡 등으로 이어진 이 날의 트레킹은 약 4시간에 걸쳐 진행이 됐답니다. 길이에 비해 상당히 오랫동안 진행이 된 셈입니다.


그렇게 하여 마지막 리워드 트레킹인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은 순조롭게 잘 마무리 됐답니다. 참가자들의 만족도도 상당히 좋았습니다. 버스 타는 것만 혼잡했지, 그 다음부터는 계속 한적하게 우리만 다녔기 때문입니다. 역시 트레킹은 한적한 맛이 있어야 합니다!


하여간 제 어깨에 놓인 짐이 하나가 날아간 느낌입니다. 어쨌든 다섯번의 트레킹이 잘 마무리가 됐으니 마음이 홀가분하더군요. 또 한편으로는 시원섭섭하다는 감정도 생기고!

 






  * 북한산: 북한산성 대서문에서 바라본 원효봉.







  * 북한산계곡 역사트레킹: 길을 걷고 있는 참가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