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서야 문화관광부에서 도보여행길에 대한 본격적인 정비에 나서나 봅니다. 하지만 너무 뒤늦은 감이 있습니다. 지금의 도보여행길의 중복투자 및 혼선은 일찌감치 예견된 일이었습니다.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콘트롤 타워 역할을 해야 했는데 오히려 그릇된 경쟁에 불을 지폈으니까요!

 

그나저나 이렇게 정리되는 기조 때문에 건실한 도보여행길조차 도매금으로 넘겨지는 건 아닌지 모를 일입니다. 유행을 타듯, 행정력이 도보여행길 개설에 몰려다녔던 모습은 정말 촌극 중에 촌극이었죠!

 

 

 

 

 

 

 

 

 

========================================================================================================================================

 

 

 

 

'길 하나에 이름 두개'..전국 도보여행길 중복 명칭 '수두룩'(종합)

 

최종수정 2013.07.11 06:50기사입력 2013.07.10 10:58

 

 

 

 

 

사회문화부이규성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걷기 열풍에 편승, 정부 부처 및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도보여행길(일명 '올레길') 조성에 나서 예산 중복 및 이용자 혼란, 정보 미흡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심지어는 같은 길을 두고 조성 주체에 따라 다른 이름을 쓰는가 하면 기본적인 여행 정보마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곳이 수두룩한 상태다.

이에 정부도 도보여행길 신규 지정 중단 등 관련 정책 공유 및 협업 등을 위한 중앙부처 협의회 개최 및 현장점검을 실시하기로 하는 등 개선, 보완을 서두르고 있지만 '사후 약방문'이라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10일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에 따르면 전국 도보여행길(조성중인 사업 포함)은 총 595개, 단위 코스 1689개, 총 길이 1만767km에 달한다. 이 중 조성 주체별로 ▲ 중앙부처 390개, 1만246km ▲ 지자체 196개, 6559km ▲ 민간 및 기타 9개, 866km이다.

현재 도보여행길 조성사업에 ▲ 국토교통부(52개) '녹색경관길' ▲ 안전행정부(125개) '우리마을 녹색길' ▲ 문체부(48개) '문화생태탐방로' ▲ 환경부(55개) '국가생태탐방로' ▲ 산림청(58) '산림문화체험길' ▲ 해양수산부(52개) '해안누리길' 등 6개 부처가 참여하고 있다.

이처럼 중앙부처가 경쟁적으로 도보여행길을 조성함에 따라 예산 중복, 관리 주체 혼선, 사후 운영 미흡 등의 문제가 속속 드러나고 있다.

도보여행길 일부 구간의 경우 조성 주체의 따라 같은 노선에 명칭이 중복 사용되는 사례도 허다하다. 같은 구간 내에서 명칭 중복 사용된 구간으로 ▲ 부산 도보여행길의 경우 해파랑길과 갈맷길이 사용중인 것을 비롯, ▲ 울산-해파랑길, 솔마루길 ▲ 강원 고성- 해파랑길, 산소길 ▲ 충남 부여 -사비길, 백마강길 ▲ 전북 군산- 구불길, 생태문화탐방로 등이 대표적이다. 심지어는 같은 길을 두고, 사업 주체별로 세개의 명칭을 쓰는 곳도 있다. 경기 양평 '두물머리길'은 물소리길, 물레길 등으로 문체부, 국토부, 지자체가 각기 다른 이름을 쓰고 있다.

중복 구간은 전체 구간 중 500km 정도로 도보여행길의 3%에 이른다. 그 중에서 동해안 도보여행길인 해파랑길은 부산지역에서 해파랑길과 갈맷길로 중복되기도 하고 강릉 일부 구간에서는 '해파랑길', 관동팔경 녹색관광길, 강릉바우길' 등으로 명칭이 붙어 있다. 이런 구간들은 관리 주체마저 불명확해 조속한 정리가 요구되는 구간들이다.

이같은 문제는 전국여행길 조성사업 초기부터 예정됐다는 지적이다. 실례로 강원 고성에서 부산에 이르는 동해안 도보여행길은 안행부 예산 1200억원을 포함, 5개 부처가 2500억원 이상 투입하기도 했다.

반대로 지방자치단체가 조성한 길 중에는 다른 노선에 해파랑길, 산소길, 삼남길, 갈맷길 등 같은 이름이 중복 사용돼 이용자의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내부 부서간 소통 부재로 관할 지역 내 도보여행길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이용자의 안전마저 위협하고 있다. 도보여행자 살인사건으로 사회문제가 됐던 제주 올레길의 경우 여행자가 요청할 경우 경찰서에서 GPS가 정착된 위험 송신기를 제공하고, SOS 기능을 탑재한 두발로 앱이 운영중이나 기타 여행길에는 안전관리시스템이 전무한 상태다. 따라서 치안 및 안전대책도 절실한 형편이다. 이 외에도 안내 표지판 부족, 표기 오류 등 사후 관리 부실도 곳곳에 노출된 상태다.

현재 도보여행길 정보망이 갖춰져 있는 것은 150여 개에 불과하다. 안행부가 조성한 일부 도보여행길은 부처 홈페이지에서도 기본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지경이다. 그나마 지자체 사이트에 정보가 있기는 하나 이용이 불편하다는 하소연이 넘친다.

각종 관리 문제가 노출된 것과 관련, 사후 예산 중복 투입 및 안전체계 수립 등을 총괄 관리할 컨트롤 타워 부재에서 비롯됐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이에 도보여행 전문가들은 "도보여행길 운영 및 관리 효율화를 위해 지역 주민 등 민간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며 "정보망 구축, 관리 주체 재정비 등 보완작업이 절실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도보여행길 조성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여행길 기본 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실태조사, 관리대상 지정 절차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한편 문체부는 오는 9월까지 '전국도보여행길' 종합정보망을 구축하고 모바일 앱 서비스 '두발로 3.0' 보완하기로 했다. 또한 중복 구간 안내체계 및 안전·편의시설을 재정할 예정이다. 또한 국회에 계류중인 '걷는 길 조성 관리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입법화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이규성 기자 peace@

 

 

 

==========================================================================================================

 

 

 

 

 

전국 도보여행길 1만7671㎞...정부, 체계적 관리

9월까지 전국 종합안내망 구축-이정표 등 안내체계 보완

 

기사입력 [2013-07-10 15:45] , 기사수정 [2013-07-10 15:45]

양승진 기자 기사더보기

 

 

정부가 전국의 1만7671km에 달하는 도보 여행길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사진은 영주 00길.

 

 

아시아투데이 양승진 기자 =
정부가 전국의 1만7671㎞에 달하는 도보여행길을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는 10일 도보여행이 단순한 열풍을 넘어 지속 가능한 관광 상품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협조해 9월까지 전국 도보여행길 종합안내망(Korea trails)을 구축하고 이정표 등 안내체계를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문화부는 또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걷는 길 조성 관리 및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문화부는 최근 관련 부처, 지자체와 함께 전국에 조성된 도보여행길 현황을 조사한 결과, 독립된 이름을 가진 길의 수가 595개에 달했고, 도보여행을 위한 단위코스는 1689개, 총 길이는 1만7671km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별 도보 여행길 현황(단위= 개소수, km)

 


문화부 관계자는 “길을 조성한 중앙부처의 사업명에 따라 동일 노선에 여러 개의 명칭이 사용되는가 하면, 지자체가 조성한 길 중에는 다른 노선에 같은 이름이 중복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이용자의 불편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또 관리 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관리가 어렵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관련 부처와 단체 간 소통을 확대하고 도보 여행길에 대한 사후 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ysyang@asiatoday.co.kr


 

 

 

 

 

 

 

 

 

 

 

 

 

 

 

 

 

*** 최근 5년 사이에 폭발적으로 만들어진 도보여행길에 대한 서울신문 보도입니다. 급조되고, 행정편의적인 시각에서 만들어진 길은 도보여행객들의 사랑을 받기 어렵지요. 그러다보면 탐방객 수는 급격히 줄어들게 되고... 이제 트레킹 코스의 개설도 정점에 다다른 것 같습니다. 도태되고 사라질 운명의 길들이 서서히 윤곽을 드러낼지 모릅니다.

당연히 그래야 할 것입니다. 사라질 것은 사라져야 할 것입니다. 트레커들의 외면을 받는 길이 무슨 도보여행길이겠습니까?

하지만 중요한 문제는, 거기에 투입된 국민의 혈세는 누가 보전하느냐 이 말입니다. 그 아까운 세금이 그렇게 허망하게 날아가 버리는데, 그 책임을 누구한테 물어야 할까요?

 

 

==============================================================================================

 

 

[커버스토리] 시장·구청장 바뀌면 길 새로 내고 청정 숲 파헤쳐 말썽 빚기도…쓸데없는 데크·계단 설치도 문제

 

한준규 기자 hihi@seoul.co.kr
 

2007년 걷기 열풍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만든 둘레길은 500개가 넘는다. 2000여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는데 체계적인 관리가 안 되다 보니 탐방객들의 불편도 커지고 있다.

특히 둘레길의 관리 주체도 틀리고 통합적인 정보관리 시스템이 없는 게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윤문기 길과 문화 사무처장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산림청 등 여러 정부 부처와 각 지자체가 서로 경쟁하듯 둘레길을 만들다 보니 정보를 통합하는 홈페이지 등이 없고 관리도 엉망”이라면서 “이제는 새로운 둘레길 조성보다는 문화적 콘텐츠를 입히는 등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자치단체장이 바뀔 때마다 새로운 둘레길 조성에만 신경 쓰고 기존 둘레길 관리에 소홀한 측면도 많다. 관리예산 부족으로 몇 년 전에 조성한 둘레길이 황폐화되고 버려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지방의 한 공무원은 “단체장이 바뀌면서 둘레길 예산이 대폭 줄거나 아예 사업을 중단한 곳도 많다”면서 “둘레길 관리 예산삭감→둘레길 황폐화→방문객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는 곳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금강송을 뽑아내고 굴착기로 진입로를 만드는 등 둘레길 공사로 청정 숲이 파괴되는 일도 있다. 손성일 아름다운 도보여행 대표는 “둘레길이 단체장의 치적 사업으로 변하면서 무리하게 공사를 벌이기도 한다”면서 “전남 누릿재, 갈재옛길은 쉼터 정자를 만들면서 옛길이 없어져 포장도로같이 변했다”고 말했다. 즉 둘레길에 필요 없는 시설이나 데크와 계단 등을 만들어 예산 낭비뿐 아니라 환경 훼손도 잦다는 것이다.

 

길을 연결하기에 급급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157㎞에 달하는 서울 둘레길에 쉼터나 숙소도 없다. 서울시는 길 연결에만 바쁘다 보니 둘레길을 걸을 외국인이나 다른 지역 관광객 등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손 대표는 “서울 둘레길은 평균 6~7일 동안 걸어야 완주할 수 있다”면서 “그러면 중간마다 외국인과 내국인을 위한 숙소는 필수”라고 말했다. 인근 폐가 등을 이용해 유스호스텔 등을 둘레길 중간에 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표지판과 명칭 중복부터 통일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윤 사무처장은 “고성의 한 둘레길 이름이 모두 9개나 된다”면서 “명칭과 지도 등 알림판 통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