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선사: 본당에서 바라본 북한산의 기암괴석. 늦게 핀 벚꽃과 뒤쪽의 기암괴석이 서로 어루러져 장관을 이룬다.

 

 

 

 

 

 

4월 13일 화요일.

성북50플러스 <역사트레킹 서울학개론> 네번째 강의가 실시된 날이다. 4강 제목은 '탕춘대성 역사트레킹'이다. 탕춘대성? 탕수육을 잘하는 중국집 이름이 아니니 오해 마시라!^^

 

강의 시작 전부터 조금 김이 빠졌었다. 수강생 중, 네 분이나 불참을 한다고 통보를 받았기 때문이다. 강의를 진행하다보면 결석자도 생기고, 조기 퇴근자도 생기기 마련이다. 당연한 거다. 그런데 예전 20명 이상 참가를 했을 때는 서너명이 빠졌어도 그렇게 큰 티가 나지 않았었다. 그때는 은근슬쩍 결석자가 나오기를 바라기도 했었다. 집중력 있게 트레킹을 하려면 20명보다는 15~16명 정도가 더 나았으니까.

 

하지만 코로나 때문에 총 수강생이 9명 밖에 되지 않으니 이번에는 티가 확 났다. 9명도 적은 인원인데 그 중에서 4명이 빠지니 확 줄어든 모양새였다. 다음에도 강의를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는데... 만약에 다시 50플러스에서 강의를 할 수 있다면 그때는 15명 정원을 꼭 채워서 행하고 싶다. 50플러스 강의의 장점은 들썩들썩이다. 문화센터나 마이리얼트립에서는 느껴지지 않는 들썩들썩함이 50플러스 강의의 매력인 것이다.

 

탕춘대성 역사트레킹은 홍제천에서 시작하는데 이동 순서는 이렇다.

홍지문(오간수문) -> 홍제천 -> 보도각백불 -> 북한산자락길 -> 탕춘대성 암문 -> 금선사

 

탕춘대성은 한양도성과 북한산성을 연결해주는 익성, 즉 날개성이다. 약 4km에 달하는데 서울의 서쪽에 있다하여 서성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인근에 연산군이 노닐었던 탕춘대라는 곳의 이름을 따서 탕춘대성이라는 네이밍을 한 것이다. 홍지문은 그 탕춘대성의 문루였고 오간수문은 홍제천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해 세워진 수문이었다.

 

홍지문과 오간수문을 나온 트레킹팀은 홍제천을 따라 걷다가 흰색 옷을 입은 부처님을 만나게 된다. 일명 보도각 백불이라고 불리는 마애불을 탐방하는 것이다. 고려시대 전기에 제작된 보도각 백불은 채색이 된 마애불이다. 이런 채색이 된 마애불은 쉽게 뵐 수가 없다. 그래서 합장을 하고 기원을 올렸다. 시주쌀 한 톨도 올리지 않았으면서 기원은 아주 구체적으로 올렸다. 그런데 기원이 바로 이루어진 것이 아닌가! 보도각 백불의 영험함을 몸소 체험한 것이다.

 

"여러분 무슨 기원을 올리셨습니까? 저는 기원이 바로 이루어졌습니다! 정말 용합니다. 보도각 백불!"

"아니 도대체 무슨 기도를 올렸기에... 혹시 로또?"

"아니요. 화장실이요. 전에 왔을 때는 화장실이 없어서 탐방할 때 항상 고민이었는데 바로 저기에 공공 화장실이 생겼어요! 정말 용해요!"

 

 

 

 

 

 

 

 

* 보도각백불: 인증샷. 보도각 백불께서 내 기원을 들어주셨다!

 

 

 

 

 

 

 

보도각 백불을 탐방한 후에는 북한산 자락길을 따라 이동을 하는데 이 길은 걷기에는 좋지만 딱 하나 아쉬운 것이 있었다. 화장실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여성 참가자가 많은 역사트레킹 프로그램 특성상 항상 그 점이 마음에 걸렸다. 오죽했으면 화장실 문제로 이 코스를 뒷전으로 미뤄둘 생각까지 했으니... 참고로 북한산 자락길은 유명한 북한산 둘레길과는 다른 길이다. 북한산 자락길은 서대문구에서 만든 길이다.

 

하여간 나의 기원은 이루어졌고, 탕춘대성 역사트레킹을 이제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역시 기원은 언젠가는 이루어진다! 아자아자~

 

정조의 아들 순조와 관련된 설화가 있는 금선사 탐방으로 트레킹은 이어졌다. 전날 비가 많이 와서 금선사 계곡에는 물소리가 쩌렁쩌렁 울렸는데 보기만 해도 시원했다. 그런 시원시원한 모습을 수강생분들도 만족해하는 모습이었다.

 

이렇게 하여 탕춘대성 역사트레킹은 무사히 종료가 되었다. 탕춘대성 역사트레킹을 행하고 와서 그랬던 걸까? 은근히 짜장면이 땡기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맛있게 짜장면을 묵었다. 트레킹 후에 먹는 음식이 얼마나 맛나던가!^^

 

 

 

 

 

 

 

 

* 홍지문과 오간수문: 각도상 수문 세 개만 나왔다.

 

 

 

 

 

 

 

 

*탕춘대성: 좀 방치됐다. 복원 작업이 필요해보인다.

 

 

 

 

 

 

 

 

 

 

 

 

 

 

 

늦게 올리는 금선사 트레킹 약식후기...

 

10월 29일 목요일.

 

이날은 우여곡절 끝에 모임이 성립된 금선사 벙개트레킹을 행하는 날이었다.

어지어찌하여 최소 인원이 달성됐고 트레킹팀은 발걸음을 뗄 수 있었다.

 

과천골 트레킹이 추석 전에 행해졌으니 거의 한 달만에 트레킹을 행한 셈이다.

그런데!!! 이날 1년 만에 얼굴을 내비친 분들도 계셨다. 한 달도 아닌 거의 일 년 만에 얼굴을 뵙다니!

 

그넘의 코로나 땜시... 여러가지로 참 불편합니다. 반가운 얼굴도 자주 못 보니...

하여간 자주 나오세요. 마스크 쓰고 안전수칙을 지키면 트레킹만큼 좋은 야외활동도 없으니까요!

 

트레킹팀은 메인 탐방지인 금선사를 향해갔다. 금선사는 무학대사가 창건한 서울 구기동에 있는 작은 사찰이다. 북한산의 남쪽 봉우리가 병풍처럼 감싸고 있는 그런 멋진 곳이다.

금선사를 가기 위해서는 3,6호선 불광역에서 하차한 후 구기동행 시내버스를 타고 10분 정도 이동해야 한다.

 

트레킹 전부터 금선사에 대해서 격찬을 했다. 그래서 트레킹팀도 큰 기대를 품었다. 하지만... 생각보다 금선사의 단풍이 여물지 않았다. 이거 어쩌나~ 그리고 여름에는 콸콸콸 시원하게 흘렀던 계곡이 싹 말라있던 것이다. 되게 황량하더군. 트레킹팀의 기대치를 너무 높여드렸던 것이다. 난 구라쟁이! ㅋㅋㅋ

 

금선사를 벗어나 점심을 먹었다. 맛난 것들을 많이 싸오셔서 덕분에 아주 잘 먹었다. 아주 좋은 현상입니다. ^^

 

이후 트레킹팀은 탕춘대능선을 따라 이동했다. 그런데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가을 운치를 느꼈다. 금선사에서 못 느낀 가을 분위기를 탕춘대능선을 따라 걸으면서 느꼈다는 것이다. 정확히는 북한산 자락길이었는데... 거기에 가보니 알록달록한 낙엽이 쫘악 깔려있었다. 누구는 그 낙엽을 하늘로 뿌리며 소녀 시대로 돌아갔다. ^^

 

그 단풍들이 너무 좋아서인지 집에 안 돌아가려고 하시더군. 그래서 제가 제발 집에 가시라고, 마을버스 바로 앞까지 안내해 드렸다. 그런데도 집에 안 가시려고 하더군. 혹시 지금도 집에 안 가시는 거 아니에요?ㅋ

 

이렇게 즐거운 시간을 보냈던 금선사 트레킹은 무사히 종료가 됐다. 너무 신이 나서 집에 안 돌아가려고 하는 것만 빼놓고는 뭐...ㅋ

 

가을단풍이 뭐라고 사람들을 가출시키는지! 하긴 가출할만도 하죠. 그렇게 알록달록하고 예쁜데...

 

 

 

 

 


 

 

 

 

 

*** 아래는 금선사와 관련된 이야기:

https://brunch.co.kr/@historytrekking/213<= 전문을 보시려면 클릭

 

 

 

● 농산 스님이 정조의 아들?

 

1787년(정조11)에 수빈 박씨가 후궁으로 간택된다. 하지만 바로 순조를 낳지는 못했다. 왕위를 계승할 후손이 없었으니 정조는 얼마나 마음이 타들어갔겠는가. 그런 상황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순조의 탄생과 관련하여 주술적인 이야기가 등장한다.

 

용파 스님이라는 분이 계셨다. 용파 스님은 당시 부과되는 부역이 너무 과하여 불교계가 피폐해지자 이를 타파하기 위해 한양으로 올라오셨다. 학수고대한 끝에 임금을 만났으니 그가 바로 정조였다. 대왕 앞에 나가 자초지정을 설명하니 그 부역을 면하게 됐다. 하지만 조건이 하나 걸렸다. 왕위를 이을 왕자를 낳게 해달라는 것이었다. 정조께서는 용파가 보통 승려가 아니었음을 알아보았고 그에게 후사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했던 것이다.

 

문제가 해결됐지만 또 하나의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임금과의 거래의 산물이니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였던 것이다. 용파 스님은 이 일이 홀로 감당할 수 없는 일이라 하여 삼각산(북한산) 금선사에 있는 농산 스님을 찾아갔다. 자초지정을 들은 농산 스님은 금선사에 있는 목정굴에서, 용파 스님은 수락산에 있는 내원암에서 300일 관음기도를 올리게 된다.

 

드디어 300일이 되던 날이었다. 이날 수빈 박씨는 한 스님이 나타나 음력 6월 18일에 아들이 태어날 것이라고 일러주는 꿈을 꾸게 된다. 이때 금선사 목정굴에서 기도를 올리던 농산 스님이 가부좌를 튼 채로 열반에 들게 된다. 마침내 음력 6월 18일이 됐고 그렇게 학수고대하던 왕자 아기씨가 태어났다. 이를 두고 농산 스님이 환생을 하여 수빈 박씨의 아들로 태어났다고 말한다. 이 설화로 따지면 농산 스님이 정조대왕이 아들이 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같은 이야기다. 하지만 어쨌든 왕위를 이을 왕자가 태어났고, 금선사에서는 매해 6월 18일에 순조의 탄신제를 올리고 있다. 더불어 금선사와 내원암은 정조 재위 기간에 크게 중창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