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교: 청계천에 있다. 






청계천이야기 1


청계천(淸溪川)은 똥물이었습니다맑을청()자를 품고 있는 명칭과는 달리 진짜 똥물이었습니다.


예전에 그만큼 더러웠다는 뜻이죠똥물처럼 탁하다는 뜻이요?”


저렇게 물어보시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저런 질문을 하시는 분들은 청계천이 똥물처럼 오염된 하천이라고 판단하셨을 겁니다워낙 오폐수로 뒤덮이다보니 똥물만큼 더럽다고 생각하신 것이겠죠.


청계천이 똥물이었다는 말은 진짜 청계천에 똥이 둥둥 떠다녀서 붙여진 이름입니다혼탁해서 붙여진 것이 아니라 진짜 똥이 흘러흘러 떠내려가서 그렇게 이름이 붙여진 것입니다.


청개천의 원래 이름은 개천(開川)이었습니다. 청계천이란 명칭은 일제강점기 이후부터 사용되었지요태종은 자연 상태에 놓여 있던 개천을 준설합니다퇴적이 심각했던 터라 큰 비만 내리면 일대가 다 침수가 됐기 때문입니다이때가 1411(태종11)년이었는데 그 전 해에 큰 홍수가 나서 목교가 떠내려가는 등 도성 일대가 큰 홍역을 치렀습니다.






* 광교: 석각신장이 뒤로 누워 있다. 필자가 일부러 사진을 돌린 것이 아니다. 





이 시기에 광교가 만들어집니다석교로 만들어진 광교는 나무다리로 만든 목교들과는 달랐습니다튼튼한 돌다리이기에 물살에 휩쓸리지 않았던 것입니다그렇게 튼튼하게 만들어진 광교의 석재들은 신덕왕후의 능에서 가져온 것들입니다태종은 신덕왕후의 능인 정릉을 지금의 자리(성북동)로 옮기고 석각신장 같은 석물들을 광교 건설에 사용했던 것입니다처음 정릉은 지금의 덕수궁 부근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무슨 사연이 있었기에 능의 석물들을 다리를 만드는데 사용했을까요왜 태종 이방원은 망자를 욕되게 했을까요신덕왕후는 태조 이성계의 계비로 첫 번째 왕세자인 이방석의 어머니였습니다이방원과는 대척점에 있었던 인물이었지요왕자의 난을 통해 왕위에 오른 이방원은 신덕왕후를 부정해야 했을 겁니다자신이 신덕왕후의 소생 이방석을 죽였으니까요.


청계천변의 다리들은 백성들이 많이 이용했습니다하루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광교를 오갔을 겁니다짚신이든 가죽신이든 그 발걸음들이 신덕왕후 능에서 가져온 석물들을 밟고 갔습니다그렇게 걸음걸음이 오가는 것 자체가 신덕왕후를 욕보이게 하는 것이겠지요.


똥물이야기하다 갑자기 광교이야기를 하니 좀 혼란스러우시죠본격적인 똥물이야기는 다음편에... ^^;



















이 곳은 관악산에서 발원하여 한강으로 흘러가는 도림천. 그 도림천에 용이 나타났습니다. '도림천에서 용나는 작은도서관'이란 곳에서 걸어놓은 용 상징물이 바로 그것입니다.

하지만 도림천에서는 용이 나올 수 없을 것 같더군요. 유량이 너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용이 몸을 적시기에는 턱없이 부족하죠.

용 대신 개는 많이 나타나더군요. 도림천이 인구 밀집 지역을 흐르고 있는 터라 산책나온 견공들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개천에서 용이 나면 좋겠지만 안 난다고 해도 너무 좌절하지 말자고요. 천변이 보이는 작은 도서관에서 책을 읽고, 도림천을 걸으며 머리를 식히고... 또 누가 아나요? 그렇게 꾸준히 독서를 하고, 산책을 하다보면 어느새 자신이 와룡선생이 되어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





 

'짝퉁' 수표교, 사라지면 좋겠다

 

 

진짜 수표교와 가짜 수표교

 

15.06.28 14:32   최종 업데이트 15.06.28 14:32

 

 

 

 

 

 

 

 

 
▲ 수표교 장충단공원에 있는 수표교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비슷한 것은 가짜다'


고전 연구자로 유명한 한양대 정민 교수의 책 제목이다. <비슷한 것은 가짜다>(2000)는 연암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산문을 소개하고, 풀어쓴 책이다.

서평을 쓰자고 이 글을 쓰는 건 아니다. 수표교(水標橋)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이 글을 쓰는 것이다. 그럼 왜 여행기사의 첫 문장에 책 제목을 끌어다 쓴 것인가? 수표교에 비슷하게 생긴 '가짜'가 있는가?

 

 


조선 개국과 함께 정비된 청계천

지금은 장충단 공원 한 쪽에 위치해 있지만 수표교는 원래 청계천에 있던 다리였다. 청계천이 복개가 된 후 홍제동에 머물렀다 1965년부터 지금까지 무려 50년 동안 현재의 자리에 터를 잡은 것이다.

조선 왕조가 한양으로 천도를 했을 때, 조정에서는 매년마다 반복되는 물난리로 골머리를 앓게 된다. 당시 한양의 하수시설이 빈약했기 때문이다. 이에 조정에서는 백악산(북악산), 인왕산, 남산 등등... 도성을 감싸고 있는 내사산의 물길을 한 곳으로 모아 흐르게 하기로 했다. 그 사업이 바로 개천(開川) 개설 사업이었다. 개천은 청계천의 옛 이름이다.

태종 11년(1411)부터 세종 16년(1434)까지 대대적으로 벌어진 치수 사업으로 인해 청계천은 흔하디흔한 자연형 하천에서 명실 공히 도성의 으뜸하천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때 물길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게 됐는데 한양이 서고동저형 지형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 수표교 봄 꽃이 화사하게 핀 수표교.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청계천 역사의 산증인 수표교

하천이 개설됐으니 다리들도 세워졌다. 청계천에는 24개의 다리가 들어섰는데 수표교도 그 중 하나였다. 수표교는 세종 2년(1420)에 세워졌는데 처음 이름은 마전교(馬廛橋)였다. 다리 인근에 소와 말을 매매하던 시전이 있었다하여 그런 이름이 붙여졌던 것이다. 그러다 20년이 지난 후에 비로소 수표교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1441년, 강수량 측정을 할 수 있는 수표(水標)를 마전교 서쪽에 세우게 됐는데 그 이후부터는 다리 이름도 수표교로 불리게 된 것이다. 

처음 물길이 잡히고, 300년이란 시간이 흐르는 동안 청계천은 다시 바닥이 높아지게 된다. 상류에서 쏟아져 나온 토사가 계속 쌓이다보니 하천의 바닥과 둑의 높이가 비슷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영조 36(1760)년, 청계천은 다시 대대적인 준설이 이루어진다. 수표교 부근에 준천사(濬川司)라는 기관을 세우고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57일 동안 무려 20만 명의 인원이 동원된 대대적인 준설을 하게 된다. 이때 수표교의 교각에는 경신지평(庚辰地坪)이라는 각자가 새겨졌다.

 


 

 
▲ 경신지평 조선 영조 때 새겨진 글씨.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청계천으로 돌아가지 못한 수표교 

시전 상인들이 건너고, 소와 말들도 건넜을 수표교에는 왕실 양식이 적용되어 있다. 다리 양 옆에 난간이 설치된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일반 백성들의 발걸음이 대다수였을 청계천의 다리에 왕실에서 쓰는 기법이었던 난간을 설치한 경우는 무척 이례적이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민간에서는 징검다리나 외나무다리 같이 격식은커녕 안정성도 담보되지 않은 다리들을 주로 이용했었다.

수표교는 튼튼한 돌다리에다 양 옆으로는 고급스러운 난간까지 설치되어 있다. 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표까지 세워졌다. 또한 청계천 준설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이렇듯 수표교는 청계천 다리 중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청계천 역사의 산증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수표교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청계천이 아닌 장충단공원에 자리 잡고 있다. 청계천 복원공사가 종료(2005년)된 지 한참이 흘렀지만 아직까지도 자기 자리를 찾지 못하고 엉뚱한 곳에서 물을 흘려보내고 있는 셈이다.

그렇다면 원래 수표교 자리에는 무엇이 들어섰는가? '짝퉁'이 들어서 있다. 품격 있는 '오리지널' 수표교의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갈색페인트로 덧칠된 격 떨어지는 '짝퉁'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오리지널'의 고급스러운 석재 난간은 나무로 대체되었는데 얼핏 보면 등산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데크처럼 보인다. 진짜 수표교를 보다가 가짜 수표교를 보면 탄식의 한숨이 터져 나올 것이다.

 


 

 
▲ 난간 진짜 수표교의 난간. 왕실에서 쓰이는 난간 양식이 민간 다리에 적용됐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난간 가짜 수표교에서 바라본 청계천. 난간을 나무로 만들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쉽지 않은 수표교 복원 사업

어떤 역사학자는 청계천 복원의 정점은 수표교를 원래 위치로 되돌리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말을 빗대보면 아직 청계천의 복원은 끝나지 않은 셈이다. 필자도 그 말에 일정부분 동의한다. 수표교가 자신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곳은 장충단공원이 아닌 바로 청계천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청계천시민위원회를 꾸려 수표교 복원과 관련된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수표교는 원래 자리인 청계2가 자리로 돌아가게 된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이전 비용이 무려 800억에 달하기 때문이다. 또한 노후화가 심해서 자칫하면 훼손된 상태로 복원이 될 수도 있다는 어려움도 안고 있다. 한편 원위치인 청계2가로 옮긴다고 해도 그 주변의 경관들이 '오리지널' 수표교의 모습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는 맹점도 도사리고 있다. 실제로 청계2가 주변은 상가들이 정돈되지 않은 모습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들 때문에 '오리지널'에 준하는 복제교를 세우자는 의견도 있다. 진짜 수표교는 그대로 장충단공원에 놔두고, 정교하게 복제된 다리를 만들어 청계2가에 세우자는 의견이다.

'오리지널'이 복원되든 복제본이 세워지든 갈색으로 덧칠된 현재의 '짝퉁' 수표교는 좀 사라졌으면 좋겠다. 진짜를 보다가 격 떨어지는 가짜를 보면 다리에 힘이 풀린다. 비슷하지도 않은 가짜를 보니 그저 답답함이 밀려올 뿐이다. 비슷하지도 않은 짝퉁을 좀... 어떻게 좀... 해주셨으면 좋겠다.  

 

 

 
▲ 가짜 수표교 청계 2가에 위치해 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진짜 수표교와 가짜 수표교를 비교해 보고자 하면:

장충단공원(3호선 동대입구역) ▶ 동대문(오간수교) ▶ 청계천 ▶ 청계2가


- 이동거리: 약 3.5km / 이동시간: 약 50분

 

 


 

덧붙이는 글 |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

http://blog.daum.net/artpun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