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빌라성: 둥그런 타워가 도열하듯 서 있다. 푸른하늘과 흰구름, 그리고 제비들이 서로 어우러진 모습이다.
<재미난 스페인 14편> 아빌라성과 한양도성
성곽이 이렇게 예쁠 수가 있어?
한참 성곽 답사를 다닌 적이 있었다. 일단 집과 가까운 한양도성을 주로 탐방하며 ‘답사 근육’을 길렀다. 서울 안쪽에 있는 4개의 산을 둘러 만든 한양도성은 그 길이가 무려 18.6km에 달한다. 그 4개의 산은 북쪽 북악산, 서쪽 인왕산, 남쪽 남산, 동쪽 낙산이다. 낙산은 처음 들어보시는가? 일품 야경을 자랑하는 낙산공원이 있는 곳이 바로 낙산이다. 모두 다 산책하기에 좋은 산들이라 필자가 행하는 ‘역사트레킹 서울학개론’ 프로그램의 에이스 역할을 해주고 있다.
한양도성 트레킹이 종료가 되면 다음으로는 북한산성, 아차산성, 탕춘대성, 호암산성 같은 서울에 소재한 산성들을 탐방했었다. 이렇듯 서울의 성들을 탐방하면서 종종 이런 대화들을 했었다.
“서울에도 성이 꽤 많네요.”
“그렇죠. 우리나라로 넓혀보면 더 많아요. 무려 이천 개나 됩니다.”
“네? 이천 개요?”
“그래서 우리나라를 성의 나라라고도 부를 수 있답니다.”
이 대목에서 수강생분들은 한결같이 놀라는 표정을 지으신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성들이 많이 축조된 건 역사적으로 전란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스페인도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성(城)이 많은 곳이다. 특히 중앙에 자리 잡은 카스티야(Castilla)는 명칭 자체가 ‘성’을 뜻하는 카스티요(castillo)에서 나온 것이다. 11세기 카스티야 왕국의 수도였던 부르고스(Burgos)도 이름 자체가 ‘성’이다. 카스티야 지역은 광활하게 펼쳐진 메세타 평원에 자리잡고 있다.
* 아빌라: 아빌라 외곽 지역을 바라본 모습. 아빌라는 스페인 중부지역에 있다.
지리적으로 방어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래서 곳곳에 성을 쌓아 방어력을 높이려 했다. 더군다나 카스티야가 이슬람 세력과의 전쟁에서 선봉장 역할을 했던 터라 더더욱 많은 수의 성을 축조할 수밖에 없었다.
마드리드에서 약 1시간 30분 정도 기차를 타고 아빌라(Ávila)로 이동했다. 아빌라는 마드리드에서 약 110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그곳에 아빌라성(Walls of Ávila)이 있다. 아빌라성은 중세시대에 축조되어 구도심을 감싸고 있는데 그 형태가 잘 보존되어 있다. 그래서 1985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우리나라 성들도 그렇지만 스페인의 성들도 훼손되어 방치된 곳들이 많다. 도심지의 확장이라는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하면 성체부터 훼손될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스페인의 성들은 사방이 뚫려있는 평지성들이 대부분이라 도시가 확장하려면 필연적으로 성곽을 깨고 나가야 한다. 하지만 아빌라성은 지금도 성문을 닫고 농성전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성채가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
사실 아빌라는 두 번째 방문이었다. 처음 방문했을 때는 어떻게 성채가 축조됐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서양의 성들은 주로 협축법으로 성채를 쌓는데 아빌라성도 협축법으로 제작되었다. 직접 올라가서 좁은 성곽길을 걸어보았다. 성곽길을 걷는데 돈을 받네! 우리 한양도성은 공짜인데!
아빌라 성처럼 평지에 만들어진 성은 협축법(夾築法)으로 축조된다. 협축법은 성벽을 큰 담장처럼 높게 쌓아 성 안팎을 확연하게 구분한다. 높은 담장처럼 쌓다 보니 위에서 내려다보면 성곽길은 좁을 수밖에 없다. 외형상 성 안쪽도 낭떠러지, 성 바깥쪽도 낭떠러지처럼 보인다. 주로 평지에 만들어진 유럽의 도시성벽들이 협축법으로 만들어졌는데 중국의 만리장성과 충북 보은에 있는 삼년산성도 협축법으로 제작되었다.
*아빌라성: 협축법으로 만들어졌다.
이와 달리 한양도성은 편축법(片築法)으로 축성되었다. 편축법은 한쪽만 성체를 쌓은 것을 말하는데 산지가 많은 우리나라의 지형 조건에 부합되는 축성 방식이다. 협축법으로 쌓인 성들이 안쪽과 바깥쪽 모두 다 낭떠러지라면 편축법은 바깥쪽만 낭떠러지다. 한쪽만 쌓으니 돈도 덜 들고, 공기도 단축된다. 얼마나 좋은가.
또한 편축법은 지형과 합치되는 방식이기에 성체가 자연의 일부로 녹아든 형상을 보인다. 편축법은 산자락을 이용하여 축조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지 주로 산성의 형태로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남한산성, 북한산성이 그 예이다.
아빌라성 안쪽으로는 구도심이 자리 잡고 있다. 시간도 늦고 해서 아예 1박을 하기로 했다. 성북동 성곽마을을 탐방했을 때 ‘성곽을 벗삼아 하룻밤을 보내면 참 좋겠다’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장소는 달라졌지만 어쨌든 성곽마을에서 잠을 청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게 잠이 들 무렵 빗소리가 들렸다.
스페인 중부지방의 하늘이 청명하게 드러났다. 성곽 트레킹을 하기에 더없이 좋은 날이었다. 아빌라성은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았다. 처음 축조됐을 때는 1090년이었고, 12세기경에 방어에 적합한 성채로 모습을 드러냈다. 이후로도 계속 성을 쌓았는데 그 시기가 14세기까지 이어졌다고 한다.
* 아빌라성: 성곽의 형태를 나타낸 조형물
아빌라성은 길쭉한 사각형처럼 생겼는데 총 길이가 약 2,500m에 달한다. 특이하게도 아빌라 대성당이 성곽 외벽 한쪽에 자리 잡고 있다. 한마디로 대성당의 외벽이 아빌라성의 성채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는 뜻이다. 성 안의 넓이는 약 9만 3천 평 정도 된다. 문은 9개가 있는데 이들 중 성 빈센트 문(Puerta de San Vicente)과 알카사르 문(Puerta del Alcazar)이 확연히 눈에 띈다. 이들 문 양 옆에는 측면 타워가 나란히 붙어 있어 문의 격조을 높여주고 있다. 그 쌍둥이 측면 타워는 높이가 무려 20m에 달한다.
88개에 달하는 반원형 타워도 연이어 늘어서 있다. 누렁이가 코를 내밀 듯, 둥그스름한 타워의 모습에서 입체감이 느껴졌다. 선을 긋듯 성채가 일직선으로만 세워졌다면 교도소 담장과 다를 바 없이 밋밋했을 것이다. 그렇게 타워의 볼륨감이 아빌라성을 돋보이게 해주고 있었다. 더군다나 한양도성에서는 연이어 늘어선 타워를 볼 수 없기에 더 눈을 크게 뜨고 바라보았다.
성벽의 높이는 평균 12m 정도인데 6~7m 사이인 한양도성에 비하면 훨씬 더 높은 셈이다. 12m 높이의 성벽을 어떻게 오른단 말인가! 더군다나 필자처럼 똥배가 나온 사람은...
* 아빌라성: 성 안쪽에서 바라본 모습. 협축법으로 지어져서 성곽길 양 옆은 낭떨어지가 된다.
아빌라성과 한양도성을 계속 묶어서 이야기를 하는 이유가 있다. 둘 다 시티월(city wall)이기 때문이다. 시티월은 도시성벽이라고 불리는데 왕족이나 귀족들이 거주하는 캐슬(castle), 요새로 불리는 포트레스(fortress), 성채라 불리는 시타델(citadel)과는 좀 다른 개념이다. 성벽 안과 밖을 엄격하게 구분하기 위해 만들었기에 캐슬이나 포트레스, 시타델보다는 크기가 더 크다. 도시를 둘러싸는 만큼 기본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띤다. 물론 지형을 따라 만드니 형태가 싹뚝 떨어지지는 않는다.
참고로 시타델은 ‘작은 도시’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육각형의 별모양으로 축성된다. 시티월이 성벽을 한 겹으로 두른 형태라면 시타델은 겹겹이 쌓아 올린 겹성 형태다. 그래서 방어력이 훨씬 더 증강되었다. 시타델 안에 마을을 짓기도 하지만 주로 도시 외곽이나 혹은 도시와 별도로 세운다. 시티월의 방어력이 부족하다면 별도의 시타델이 함께 축성되는 식이다.
순례길에서 첫 번째로 만나는 대도시인 팜플로나에는 구도심을 시티월이 감싸고 있고, 별도로 육각형의 시타델이 있다. 팜플로나 시타델이 순례길 바로 옆에 있지만 다음 목적지로 가는 길이 바뻐서인지 순례객들은 그냥 지나쳐간다. 그 모습이 좀 안타까웠다. 저 좋은 걸 그냥 지나치다니!
아빌라성의 길이가 2,500m라 약 30~40분이면 한 바퀴를 다 돌 수 있다. 한양도성은 18.6km이라 순성을 제대로 하려면 10시간 정도가 필요하다. 밥 시간은 둘째치고, 북악산과 인왕산 성곽길이 상당히 난코스이기 때문이다. 산을 꽤 잘 타는 사람들도 북악산 성곽길의 계단에서는 숨을 가쁘게 몰아쉴 정도다.
비가 온 뒤라 하늘은 더없이 맑고 푸르렀다. 느긋하게 성곽 트레킹을 하며 사진을 찍었다. 둥글둥글한 타워들이 사열하듯이 서 있었는데 그 모습이 흰구름과 어우러져 장관을 연출하고 있었다. 성곽이 이렇게 예쁠 수가 있어? 우리 한양도성도 예뻐!
* 알카사르 문(Puerta del Alcazar): 양 옆에 측면 타워가 있어 문의 격조를 높여주고 있다.
* 아빌라 지도
'행복한_여행 > 세상은_넓다_해외아웃도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난 스페인 13편> 스페인 내전과 게르니카 (0) | 2025.01.20 |
---|---|
<재미난 스페인 8편> 5일 천하로 끝난 카탈루냐공화국 (0) | 2024.11.28 |
<재미난 스페인 7편> 5억 명이 스페인어를 쓰고 있는데, 스페인어가 없다고? (7) | 2024.11.03 |
<재미난 스페인 6편> 스페인 한복판에 탁자 고원이 있다고?_ 메세타평원 (3) | 2024.10.23 |
<핫한 유럽여행 5편> 돌산의 기운이 팍팍 느껴지네! _몬세라토 (2)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