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늘재 표지석
전편 <충주미륵대원지>에 이어서...
미륵대원지 옆으로는 큰 마방터가 있다. 이전편에도 언급했듯이 미륵대원은 원(院)을 겸하고 있었다. 옛 통신교통 수단인 역원이 있었다는 건, 그 앞으로 길이 있었다는 뜻이다. 그렇다. 미륵대원지 앞으로는 하늘재라는 고갯길이 있다.
계립령 혹은 지릅재라고도 불리는 하늘재는 신라 아달라 이사금(왕) 때인 서기 156년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보니 하늘재는 문헌상으로 전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고갯길이 됐다. 1900년도 더 지난 아주 오래전에 고갯길이 만들어진 것이다.
현재 하늘재를 중심으로 미륵대원지가 있는 곳은 충북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이고, 반대편은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 관음리다. 하늘재를 두고 한쪽은 미륵신앙을 받들고, 반대편은 관음신앙을 중시하는 모양새다. 그러고보면 하늘재는 불교 문화 전파에 중요한 행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마방터를 둘러 본 후 하늘재 표지석 앞에 있는 3층 석탑과 불두(부처님 머리)를 친견했다. 불두만 있는 것은 아무래도 석불을 만드려다 사정상 중지가 된 것 같았다. 얼핏봤을 때는 이스턴섬에 있는 모아이 석상처럼 보였다. 아니면 제주도의 돌하루방루방처럼 보이던가...^^
3층 석탑의 위치도 좀 애매했다. 하늘재 표지석 인근에 자리잡고 있는데 이곳은 마방터 외곽이라 미륵대원지와는 거리가 좀 있다. 자료를 찾아보니 땅의 기운을 채우기 위한 비보의 의미로 세웠다는 게 중론이라고 한다.
* 3층석탑: 고려시대 만들어졌다. 하늘재 표지석 인근에 서 있다.
* 불두: 오른쪽에 불두가 있다.
자 이제 본격적인 하늘재 트레킹에 나서보자. 입구에서 하늘재 정상까지는 약 2km 정도인데 경사도가 급하지 않아 트레킹 초심자들도 어렵지 않게 걸을 수 있다. 울창한 숲길 사이를 걷다보면 어느 순간 콧노래가 나올지도 모른다. 그만큼 걷기도 편하고 탐방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옆쪽으로는 계곡물도 흐르고 있어 나름 여름에도 시원하게 걸을 수 있을 거 같다.
하늘재를 가다보면 '연아 닮은' 소나무가 있으니 한 번 눈여겨 보자. 김연아가 피겨 스케이팅을 하는 모습과 닮았다고 그런 명칭을 붙였는데... 정말 닮았나? 판단은 여러분의 몫이다.
드디어 하늘재 정상에 도착했다. 해발이 525미터다. 출발점 고도가 높아서인지 겨우 2km를, 그것도 순하게 이동했는데 그 높이에 닿은 것이다. 하늘재에 닿으니 시야가 넓어졌다. 옆쪽으로 암반면이 드러난 포암산이 반겨주고 있었다. 역시 돌산은 보는 것만으로도 매력적이다. 물론 거기를 올라가면 힘들지...^^
우리나라 최초의 고갯길이라 그런지 당연히 산신각이 있었다. 간단히 합장을 하고 찬찬히 그림을 살펴보는데... 중국풍이었다. 기왕 그리는 거 산신령님은 우리풍으로 그리는게 맞지 않나? 호랑이도 백두산 호랑이로 그려야 제 맛이지. 호랑이가 뱅골 호랑이였던 거 같았다...ㅋ
상주쪽으로 넘어갔다. 도를 넘은 것이다. 그런데 상주쪽 하늘재는 아스팔트 길이었다. 더이상 걸을 이유가 없었다. 단전된 느낌이었다. 인근에 있는 문경새재는 그렇게나 잘 관리를 하면서... 사람들은 흙길, 숲길을 걸으려고 하지 아스팔트를 걸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당연한 것이다.
하늘재는 조령, 즉 문경새재가 개통되면서 그 위치를 상실해간다. 문경새재는 조선 초기 서울에서 동래까지 영남대로가 만들어지면서 함께 개통이 된 것이다.
삼국 항쟁기에는 온달 장군이 '계립령 서쪽이 돌아오지 않으면 나도 돌아오지 않겠다'고 할만큼 전략상으로 무척 중요했던 곳. 고려 후기 공민왕이 홍건적들의 침입을 피해 몽진을 할 때 넘었던 그 고개. 망국의 한을 품은 신라의 마의태자와 덕주공주도 눈물의 발걸음을 했을 그 하늘재!
이렇듯 이 땅의 고개는 사람들의 발걸음으로 분주했고, 그 발걸음들은 수많은 이야기거리들을 길 위로 뿌려댔던 것이다. 그렇게 많은 이들의 이야기가 있는 발걸음을 미륵리석조여래입상은 큰바위 얼굴처럼 묵묵히 지켜보고 계셨겠지!
* 마방터
* 하늘재
* 연아 닯은 소나무
* 하늘재: 정상석
* 포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