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문 시장 옛날엔 수산시장이었다?

 

[서울 탐방] 칠패 시장과 남대문 시장

 

오마이뉴스 | 곽동운 

 

 입력 2015.08.01 15:20 | 수정 2015.08.01 15:24

 

 

 

 

▲ 남대문 숭례문
ⓒ 곽동운

 

 

 

"예? 남대문시장이 예전에는 수산물 시장이었다고요?"

"콕 집어서 수산물만 판 건 아니었어요. 하지만 수산물이 에이스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요? 그거 메르스만큼 쇼킹한 말이네요!"

 

메르스가 한참 맹위를 떨치던 지난 6월경,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일대를 탐방하며 지인들과 나눈 대화 중 일부다. 당시 남대문시장 일대는 썰물 빠지듯 사람들이 빠져나간 상태였다. 

대화를 나누다 보니 느낀 점이 하나 있었다. 사람들이 우리나라 재래시장에 대한 역사를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었다. 재래시장 탐방을 좋아하는 이들을 만나 봐도 마찬가지였다. 심지어 이런 말을 했던 분들도 있었다.

 

"대형마트 이전에 있던 게 재래시장 아니에요?"

 

 

 

▲ 남대문시장 남대문시장 로고
ⓒ 곽동운

 

 

 

 

호남지역에서 최초로 나타난 장시

 

이 땅에 장시(場市)라 불리는 시장이 출현하기 시작한 건 14세기 말 무렵이었다. 처음 시장이 개설된 지역은 전라도 나주 일대였다. 나주는 영산강을 끼고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그래서 예로부터 농업생산물이 풍부했다.

 

영산강을 거슬러 온 것들도 있었다. 바로 인근 바다에서 잡힌 수산물들이었다. 곡식과 수산물이 집산되고, 거기에 지리산 부근에서 채집된 임산물까지 더해지니 영산강 일대는 장시 출현의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었던 셈이다. 그렇게 서해바다에서 잡힌 물고기들은 나주의 영산포까지 실려 왔고, 그 생선들은 나주평야에서 생산된 곡식들로 교환됐다.

 

영산포까지 실려온 물고기들 중에는 홍어도 있었다. 흑산도 부근에서 잡힌 홍어가 내륙 안쪽에 있는 영산포까지 오려면 시일이 필요했고, 그러다 보니 삭힌 홍어가 되어 버렸다. 그렇게 삭힌 홍어 요리는 나주 영산포의 명물이 됐다.

 

 

 

 

▲ 남대문시장 남대문시장
ⓒ 곽동운

 

 

 

 

백성들의 숨통을 트이게 해주었던 장시

 

16세기가 되면 장시는 5일장, 혹은 10일장 형태를 띠며 전국적으로 뻗어나갔다. 장시의 출현과 확장은 농업생산성의 발달과 관계가 깊다. 농업기술의 발달로 생산물이 풍부해지자 잉여 산물이 생기게 됐고, 그 잉여 산물을 농민들끼리 교역하는 방식으로 장시가 자리 잡게 된 것이다. '대형마트 이전에 재래시장'이 있던 게 아니라 사회적인 분위기가 무르익게 되자 하나 둘씩 자리를 잡게 된 것이다.

 

물산이 모이다 보니 '떡고물'이라도 떨어졌던 것일까? 장시는 흉년이 들었을 때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장시가 농민들의 호구책이 되어 주었기 때문이다. 최소한 장시에 들러 붙어 있으면 국밥 건더기라도 얻어먹을 수 있었다. 한편 가렴주구(苛斂誅求)를 피해 도망쳐 온 농민들에게도 장시는 귀중한 '쉼터'역할을 해주었다.

 

그래서 조선 왕조는 장시를 정식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에 그치지 않고 금지령도 수시로 발령했다. 하지만 대세를 누가 꺾을 수 있겠는가? 막는다고 막아지는 게 아니었다. 장시의 성립과 발전은 순조류를 타고 역사적 흐름의 하나로 퍼져나갔기 때문이다.

 

 

 

▲ 남산공원 서울성곽 남산 구간. 남대문시장과 남산공원을 묶어서 탐방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 곽동운

 

 

 

 

한양의 큰 시장이었던 곳, 칠패 시장

 

조선시대 한양에서 가장 큰 시장 세 곳을 꼽으라고 하면 칠패, 배오개, 종로가 꼽혔다. 이 중 육의전을 중심으로 한 종로를 제외하면 칠패와 배오개는 아직까지도 그 명맥이 굳건히 이어지고 있다. 칠패는 남대문 시장으로, 배오개는 동대문 시장으로 연결됐다.

 

칠패 시장은 원래 소의문이라고 불렸던, 서소문 밖에 펼쳐진 시장이었다. 서소문은 서대문(돈의문)과 함께 일제 강점기 때 철거가 된 상태라 현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그 터에서 조금만 더 가면 서소문 공원이 있는데 그 일대가 칠패 시장이었다. 서소문공원과 남대문은 도보로 10분 남짓 걸린다. 한마디로 예전 칠패 시장은 남대문 쪽으로 옮겨와 계승됐다고 보면 된다.

 

그 옛날 칠패 시장은 다양한 물산을 자랑했다. 소금, 새우젓, 채소, 죽세공품 등등... 하지만 칠패 시장의 에이스 중에 에이스는 단연 물고기였다. 1844년에 한산거사라는 사람이 <한양가(漢陽歌)>라는 풍물가사를 썼는데 그곳에 칠패 시장에 대해 이렇게 묘사를 했다.  

 

 

우리나라 소산(所産)들도 부끄럽지 않건마는
타국 물자 교합하니 백각전(百各廛) 장할시고.
칠패의 생선전에 각색 생선 다 있구나.
민어 석어 석수어며 도미 준치 고등어며
낙지 소라 오적이며 조개 새우 전어로다.

 

 

<한양가>에서 언급됐듯이 당시 칠패 시장에서는 마포나루에서 올라온 각종 해산물들이 파닥거리고 있었다. 근원을 따지면 칠패 시장의 어물전들은 노량진수산시장보다 훨씬 더 오래된 연혁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메르스 사태가 일정 정도 가라앉은 7월경에 다시 남대문시장을 찾았다. 시장은 다시 활기를 띠고 있었다. 양 손 가득 물건을 들고 있는 외국인들의 모습도 많이 보였다. 결국 남대문시장이 메르스를 이긴 것이다!

 

현재 남대문시장에는 칠패 시장의 비릿한 생선 냄새가 진동하지 않는다. 대신 '남대문시장에는 핵무기와 탱크 빼고 다 있다'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없는 게 없는 곳이 됐다. 시간이 흘러 위치도 약간 달라지고, 취급하는 물품도 달라졌지만 그 명성은 계속 이어져 왔던 것이다. 또한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 여행 길잡이: 남대문시장과 남산공원을 묶어서 도보 탐방해보자. 시작점은 시청역이고 종료점은 장충단 공원이다. 약 2시간 30분 정도 소요 예상.

 

시청역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남산공원 ▶ 장충단공원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

http://blog.daum.net/artpunk

 

 

 

 

 

 

 

서소문과 서소문공원, 광희문과 신당동

 

시체가 나간 두 개의 문, 서소문과 광희문

 

15.04.14 13:52   최종 업데이트 15.04.14 16:20

 

 

 

 

 

 

 

 

 
▲ 서소문 공원 서소문 공원에 있는 순교자현양비.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조선시대 한양에는 두 개의 문이 있었다. 무슨 문? 시체가 나가는 두 개의 문이 있었다.

하나는 소의문이라고 불렸던 서소문이고, 다른 하나는 남소문 역할을 했던 광희문이다. 조선시대 한성부에서는 도성 안과 도성 인근 십리 안에는 묘를 쓰는 것을 금지했다. 도성 인근 십리 부근을 '성저십리(城底十里)'라 했는데, 도성과 성저십리는 한성부의 관할이었다. 만약 도성 안에도 묘를 썼다면, 아마도 남산 같은 경우는 공동묘지가 됐을지 모른다. 그럼 '남산골 샌님'이 아닌 '남산골 처녀귀신'이 같은 괴담이 퍼져 나갔을까?

 

 

 

* 소덕문 터: 지금의 중앙일보 주차장 입구.

 

 

 

 



처형장으로 쓰인, 서소문

서울 시청역에서 <중앙일보> 사옥 방면으로 가다보면 철도건널목이 보인다. 그 건널목을 건너면 공원이 나오는데 그곳이 바로 서소문 공원이다. 서소문 공원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근린공원 규모의 작은 공원이지만 그 역사성만큼은 대단한 곳이다.

서소문은 소덕문(昭德門) 혹은 소의문(昭義門)으로 불린 사소문 중 하나다. 1396년 태조 3년, 이 문이 지어졌을 때는 소덕문이라 불렸다가 1744년(영조 20)에 문루를 세우면서 소의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자리에서 좀 벗어난 곳에 서소문 공원이 위치해 있는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서소문은 광희문과 함께 시체가 나가는 문 중 하나였다. 하지만 광희문과는 다른 것이 있었다. 처형장으로 쓰였다는 점이다. 서소문, 정확히는 서소문 밖이 처형장으로 쓰였는데 이는 유교 오경 중 <예기>에 언급된 가르침을 적용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예기>에는 '형장은 사직단의 우측이어야 한다'고 적어 놓았는데 서소문 밖이 그 말에 일치되어 조선의 공식 처형장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 서소문 공원 입구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유교 경전식 해석 말고 다른 해석도 있다. 서소문에서 의금부나 전옥서(죄수를 관장하는 관서) 등이 가까운 터라 서소문이 처형장으로 쓰였다는 것이다. 지도상에서 보면 사직단이나 서소문이나 둘 다 거의 동일선상에 있는 터라 후자의 의견도 틀린 말이 아니다.

그렇게 서소문 밖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처형을 당했다. 신유박해(1801년) 때는 정약용의 셋째 형인 정약종이 이승훈, 최창현 등과 함께 목숨을 잃었다. 이때 정약종의 첫째 아들 정철상도 함께 목숨을 잃게 된다.

기해박해(1839년) 때도 많은 천주교인들이 서소문에서 처형을 당하게 됐다. 정약종의 둘째 아들이었던 정하상과 딸인 정정혜가 이때 참수를 당했다. 처형을 당한 것은 아니지만 정약종의 아내이자 하상, 정혜의 어머니인 유소사도 기해박해 때 목숨을 잃게 됐다.

서소문에서는 신유박해 때부터 병인박해까지 100여 명의 천주교인들이 처형을 당한다. 그래서 서소문은 천주교 최고의 성지 중에 한 곳이다. 그래서 현재 서소문 공원에는 순교자현양탑이 세워져 있다. 2014년에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도 서소문 공원을 방문했다. 

 

 

 



 
▲ 서소문 공원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을 기념하여 동판을 새겨 놓았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서소문을 둘러싼 갈등들

현재 서소문 공원 일대는 '역사공원'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지하에 성당을 만들고, 천주교 순교 성인을 위한 기념전시관을 만드는 데 약 5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천주교 성역화' 사업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이 있다. <서소문공원 바로 세우기 범국민대책위원회(아래 범대위)>가 바로 그들이다. 범대위는 서소문에서 생을 마감한 이들이 천주교인들만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동학농민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김개남, 동학의 2대 교주였던 최시형, 홍경래 난에 연루된 관련자들, 사육신인 성삼문, <홍길동전>의 허균 등이 모두 서소문에서 이승과 작별을 했다고 강조한다. 즉, 서소문 공원이 천주교만의 성지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범대위 측과 천주교 측의 입장이 절충될 수는 없을까? 서소문 공원에 천주교 성지 건물과 동학(천도교)을 비롯한 민족 종교의 건물이 동시에 등장할 수는 없을까? 이런 식으로 말이다. A구역은 천주교, B구역은 동학, C구역은 인물 역사관 등등...

자, 이제까지 필자는 서소문 공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 서소문 자체보다는 서소문 공원에 대해서 훨씬 더 길게 설명했다. 왜? 서소문은 현재 없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철거됐다. 그래서 현재의 서소문 공원이 옛 서소문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 복원된 성벽 한양 도성의 성곽 중 평지 부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거의 다 훼손되고 만다. 평지에 있던 서소문도 철거가 되고 만다. 사진에 복원된 성벽은 중앙일보 뒤편에 있는 것들이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서소문역사공원범국민대책위원회: 현수막

 

 

 

 

 

우사단 길도 공동묘지?

도성 안에 매장을 하지 말라는 원칙은 잘 지켜진 반면, '성저십리' 원칙은 서서히 무너져 갔다. 그래서 시체가 나가던 서소문과 광희문(光熙門) 인근에는 공동묘지들이 하나 둘씩 들어서게 됐다. 서소문으로 나갔던 시체들은 지금의 아현동 부근에 묻히게 됐다. 광희문에서 나가는 시체들은 신당동이나 왕십리, 이태원 쪽으로 매장됐다. 그러고 보니 언급된 동네들은 야트막한 언덕배기로 되어 있어 공동묘지가 되기에 안성맞춤(?)인 곳들이다. 그래서 이런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지금 한창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는 이태원 우사단길도 예전에는 공동묘지가 아니었는지?"

신당동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하나 있다. 지금이야 신당동하면 떡볶이로 유명하지만 예전에는 무당들이 모여 산 곳으로 유명했다. 광희문 밖으로 나온 망자들을 위해, 유족들은 무당들을 불러 굿을 하며 넋을 달랬다고 한다. 광희문 밖은 자연스럽게 하나둘씩 신당이 늘어나게 됐고, 이후 신당이 많다 하여 신당동(神堂洞)으로 불렸다. 이후 갑오개혁 때부터는 한자어가 신당동(新堂洞)으로 바뀌어 이제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광희문도 서소문처럼 천주교의 성지다. 옥사를 한 천주교인들의 시신이 광희문 밖에 버려졌고 그 곳이 성지화된 것이다.

이제까지 시신들이 나갔던 두 개의 문에 대해서 알아봤다. 죽은 자들은 그 문을 통해 다시는 도성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그러고 보면 죽은 자들은 도성에서 '거주'할 자격이 없었던 것 같다. 그건 그렇고... 서소문은 언제 복원이 될까? 앞서도 언급했듯이 서소문 공원에 500억이 투입된다는데 서소문 복원이 우선이 아닐까?

 
▲ 광희문 평지에 있던 광희문도 훼손됐다, 지난 1975년에 다시 복원 됐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광희문

 

 

 

덧붙이는 글 |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

http://blog.daum.net/artpun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