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과 서소문공원, 광희문과 신당동
▲ 서소문 공원 서소문 공원에 있는 순교자현양비. | |
ⓒ 곽동운 |
하나는 소의문이라고 불렸던 서소문이고, 다른 하나는 남소문 역할을 했던 광희문이다. 조선시대 한성부에서는 도성 안과 도성 인근 십리 안에는 묘를 쓰는 것을 금지했다. 도성 인근 십리 부근을 '성저십리(城底十里)'라 했는데, 도성과 성저십리는 한성부의 관할이었다. 만약 도성 안에도 묘를 썼다면, 아마도 남산 같은 경우는 공동묘지가 됐을지 모른다. 그럼 '남산골 샌님'이 아닌 '남산골 처녀귀신'이 같은 괴담이 퍼져 나갔을까?
* 소덕문 터: 지금의 중앙일보 주차장 입구.
처형장으로 쓰인, 서소문
서울 시청역에서 <중앙일보> 사옥 방면으로 가다보면 철도건널목이 보인다. 그 건널목을 건너면 공원이 나오는데 그곳이 바로 서소문 공원이다. 서소문 공원은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근린공원 규모의 작은 공원이지만 그 역사성만큼은 대단한 곳이다.
서소문은 소덕문(昭德門) 혹은 소의문(昭義門)으로 불린 사소문 중 하나다. 1396년 태조 3년, 이 문이 지어졌을 때는 소덕문이라 불렸다가 1744년(영조 20)에 문루를 세우면서 소의문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 자리에서 좀 벗어난 곳에 서소문 공원이 위치해 있는 것이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서소문은 광희문과 함께 시체가 나가는 문 중 하나였다. 하지만 광희문과는 다른 것이 있었다. 처형장으로 쓰였다는 점이다. 서소문, 정확히는 서소문 밖이 처형장으로 쓰였는데 이는 유교 오경 중 <예기>에 언급된 가르침을 적용해서 그렇게 된 것이다. <예기>에는 '형장은 사직단의 우측이어야 한다'고 적어 놓았는데 서소문 밖이 그 말에 일치되어 조선의 공식 처형장으로 쓰이게 된 것이다.
▲ 서소문 공원 입구 | |
ⓒ 곽동운 |
그렇게 서소문 밖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처형을 당했다. 신유박해(1801년) 때는 정약용의 셋째 형인 정약종이 이승훈, 최창현 등과 함께 목숨을 잃었다. 이때 정약종의 첫째 아들 정철상도 함께 목숨을 잃게 된다.
기해박해(1839년) 때도 많은 천주교인들이 서소문에서 처형을 당하게 됐다. 정약종의 둘째 아들이었던 정하상과 딸인 정정혜가 이때 참수를 당했다. 처형을 당한 것은 아니지만 정약종의 아내이자 하상, 정혜의 어머니인 유소사도 기해박해 때 목숨을 잃게 됐다.
서소문에서는 신유박해 때부터 병인박해까지 100여 명의 천주교인들이 처형을 당한다. 그래서 서소문은 천주교 최고의 성지 중에 한 곳이다. 그래서 현재 서소문 공원에는 순교자현양탑이 세워져 있다. 2014년에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도 서소문 공원을 방문했다.
▲ 서소문 공원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문을 기념하여 동판을 새겨 놓았다. | |
ⓒ 곽동운 |
현재 서소문 공원 일대는 '역사공원' 사업이 진행 중에 있다. 지하에 성당을 만들고, 천주교 순교 성인을 위한 기념전시관을 만드는 데 약 500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하지만 이 '천주교 성역화' 사업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를 내는 이들이 있다. <서소문공원 바로 세우기 범국민대책위원회(아래 범대위)>가 바로 그들이다. 범대위는 서소문에서 생을 마감한 이들이 천주교인들만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동학농민전쟁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김개남, 동학의 2대 교주였던 최시형, 홍경래 난에 연루된 관련자들, 사육신인 성삼문, <홍길동전>의 허균 등이 모두 서소문에서 이승과 작별을 했다고 강조한다. 즉, 서소문 공원이 천주교만의 성지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범대위 측과 천주교 측의 입장이 절충될 수는 없을까? 서소문 공원에 천주교 성지 건물과 동학(천도교)을 비롯한 민족 종교의 건물이 동시에 등장할 수는 없을까? 이런 식으로 말이다. A구역은 천주교, B구역은 동학, C구역은 인물 역사관 등등...
자, 이제까지 필자는 서소문 공원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다. 서소문 자체보다는 서소문 공원에 대해서 훨씬 더 길게 설명했다. 왜? 서소문은 현재 없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에 철거됐다. 그래서 현재의 서소문 공원이 옛 서소문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는 셈이다.
▲ 복원된 성벽 한양 도성의 성곽 중 평지 부분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며 거의 다 훼손되고 만다. 평지에 있던 서소문도 철거가 되고 만다. 사진에 복원된 성벽은 중앙일보 뒤편에 있는 것들이다. | |
ⓒ 곽동운 |
* 서소문역사공원범국민대책위원회: 현수막
도성 안에 매장을 하지 말라는 원칙은 잘 지켜진 반면, '성저십리' 원칙은 서서히 무너져 갔다. 그래서 시체가 나가던 서소문과 광희문(光熙門) 인근에는 공동묘지들이 하나 둘씩 들어서게 됐다. 서소문으로 나갔던 시체들은 지금의 아현동 부근에 묻히게 됐다. 광희문에서 나가는 시체들은 신당동이나 왕십리, 이태원 쪽으로 매장됐다. 그러고 보니 언급된 동네들은 야트막한 언덕배기로 되어 있어 공동묘지가 되기에 안성맞춤(?)인 곳들이다. 그래서 이런 의문이 들 수도 있다.
"지금 한창 핫플레이스로 뜨고 있는 이태원 우사단길도 예전에는 공동묘지가 아니었는지?"
신당동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가 하나 있다. 지금이야 신당동하면 떡볶이로 유명하지만 예전에는 무당들이 모여 산 곳으로 유명했다. 광희문 밖으로 나온 망자들을 위해, 유족들은 무당들을 불러 굿을 하며 넋을 달랬다고 한다. 광희문 밖은 자연스럽게 하나둘씩 신당이 늘어나게 됐고, 이후 신당이 많다 하여 신당동(神堂洞)으로 불렸다. 이후 갑오개혁 때부터는 한자어가 신당동(新堂洞)으로 바뀌어 이제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광희문도 서소문처럼 천주교의 성지다. 옥사를 한 천주교인들의 시신이 광희문 밖에 버려졌고 그 곳이 성지화된 것이다.
이제까지 시신들이 나갔던 두 개의 문에 대해서 알아봤다. 죽은 자들은 그 문을 통해 다시는 도성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그러고 보면 죽은 자들은 도성에서 '거주'할 자격이 없었던 것 같다. 그건 그렇고... 서소문은 언제 복원이 될까? 앞서도 언급했듯이 서소문 공원에 500억이 투입된다는데 서소문 복원이 우선이 아닐까?
▲ 광희문 평지에 있던 광희문도 훼손됐다, 지난 1975년에 다시 복원 됐다. | |
ⓒ 곽동운 |
* 광희문
덧붙이는 글 | 길 위의 인문학 역사트레킹
http://blog.daum.net/artpunk
'행복한_여행 > 서울_경기도여행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 정약용> 옛 선인의 길을 따라... 남양주 정약용 역사트레킹 (0) | 2015.05.04 |
---|---|
<광화문> 일제 강점기, 광화문이 옮겨진 이유 (0) | 2015.04.25 |
<선유도> 선유도가 원래 섬이 아니었다고? (0) | 2015.04.09 |
<서울> 끊어진 곳에서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다! (0) | 2015.04.03 |
<관악산둘레길> 관악산 둘레길 따라 가는 '역사탐방' (0) | 201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