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답사 1번지, '강진군' 사용법을 소개합니다___1편

빼어난 갈대밭 코스, 빠질 수 없는 다산초당 등...남도의 매력

13.12.06 14:16l최종 업데이트 13.12.06 17:52l

 

 

 

 

 

기사 관련 사진
▲ 이진항 이진성터 위쪽 언덕배기에서 찍은 사진이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남도로 향하는 길은 언제나 즐겁다. 산, 들, 바다가 서로 어우러진, 그런 아기자기한 남도의 풍광들을 벗 삼아 길을 걷다보면 발걸음도 가벼워진다. 그렇게 걷다가 허기가 지면 푸짐한 남도 음식으로 배를 채울 수도 있다. 자, 그럼 아기자기한 풍광 속에서 즐겁게 트레킹을 할 수 있는 남도로 떠나보자!

필자가 찾은 곳은 전남 강진군이다. '남도 답사 1번지'라고 불리는 강진군은 다산 정약용 선생이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다산 선생은 만덕산 기슭에다 다산초당을 짓고 그곳에서 집필 활동과 후학 양성에 힘썼다. 강진에서 무려 20년 가까이나 생활 하셨던 만큼 강진 곳곳에는 다산 선생의 자취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런 자취를 따라서 강진을 찾는 이들도 많다. 그런 모습을 보면 이런 생각까지 들 정도다.

'정약용 선생이 강진을 먹여 살리고 있다!'

 



# 정약용과 강진

물론 비약이 심한 말이다. 그래서 필자에게 손가락질을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산 선생이 강진에 유배를 오지 않았다면, 강진이 '남도답사 1번지'라는 수식어를 부여받을 수 있었을까? 만약 다산의 자취가 없었다면, 굳이 강진으로 답사 여행을 떠날 필요가 있을까? 한편 다산 선생의 생가가 경기도 남양주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 반면, 그의 유배지가 강진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것도 필자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여행기의 거점은 강진군 버스터미널이다. 강진군은 해남, 장흥, 영암과 인접해 있어 남도여행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래서 강진터미널에서는 인근지역으로 연결되는 시골버스들이 꽤 많은 편에 속한다. 위에서 언급한 주변지역 뿐 아니라 완도군에 있는 약산면(조약도) 당목항까지도 연결된다. 당목항까지 가는 버스는 남도 섬 여행 버스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그만큼 아름다운 다도해 해상을 시원하게 질주한다.   

 

기사 관련 사진
▲ 이진항 이진항은 작고 아담한 포구다. 앞에 보이는 섬은 완도군의 달도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이진성터도 강진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도착했다. 북평면은 완도대교가 있기 때문에 완도로 진입하려면 반드시 이곳을 거쳐야 한다. 북평면 면사무소가 있는 곳에서 이진성터까지는 그리 멀지 않다. 현재 이진성터는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해들길)에 놓여 있다.

 


# 삼남대로의 내륙 종착점, 해남 이진성

여기서 잠깐 삼남길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해보겠다. 삼남길은 옛 삼남대로를 계승한 길로 도보여행을 하기에 적합한 트레일(trail: 오솔길, 소로길)이다. 특히 전남구간(14개 코스, 228km)은 남도를 종단하기에 코스 하나하나가 다 명품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옛 삼남대로는 한양 숭례문에서 시작하여 제주도까지 연결되었던 길이다. 그 길을 따라 관헌들은 부임지로 말을 몰았고, 보부상들은 장마당으로 발걸음을 분주히 옮겼다. 정약용·정약전 형제가 눈물을 흘리며 유배지로 향했던 길도 바로 옛 삼남대로였고, 권좌에서 쫓겨난 광해군이 제주도로 유배를 갈 때 걸었던 길도 삼남대로였다. 그렇듯 삼남대로는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곳이었다. 한마디로 삼남대로는 그 자체가 역사의 현장이었던 셈이다.

이진성은 옛 삼남대로의 내륙 종착지였다. 이진성은 삼포왜란과 임진왜란 이후 그 전략적 가치가 높아져 숙종 임금 시기에 수군만호부가 개설된 곳이기도 했다.

기사 관련 사진
▲ 공룡능선 이진항에서 바라본 해남의 공룡능선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이진성은 종점이자 시작점이기도 했다. 해남에서 제주도로 가는 관선의 출항지가 이곳 이진항이었던 것이다. 지금도 이곳에는 작은 포구가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이 항구에서 제주도로 향하는 배가 입·출항을 했다.

그래서 아직도 이 항구 곳곳에는 제주도에서 실어온 돌(현무암)들이 널려있다. 이 현무암들은 제주도에서 군마를 실어올 때 균형축 역할을 했던 돌들이다. 항해에 익숙지 않은 말들이 선내에서 요동을 치면 자칫 배가 전복될 수 있기에 일부러 돌을 실어 배의 총중량을 늘렸던 셈이다. 역할을 다한 돌들은 이진항에 버려졌고 그 자리에는 남도의 곡식들이 선적됐다.

앞서 언급한 북평면 면사무소 일대는 조선시대 남창이라는 창고가 있던 자리다. 남창은 제주도에서 수취한 공물들을 모아두었던 곳인데 이진성과는 불과 1km 남짓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한마디로 이진성과 남창은 한 테두리로 묶일 수 있는 것이다.

역사적인 의미 외에도 이곳은 빼어난 갈대밭 트레킹 코스를 자랑한다. 가을 억새밭 산행과는 다른 느낌의 갯벌 갈대밭 트레킹을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갈대밭을 따라 걷다보면, 오른쪽으로는 바다 너머 완도 본섬이 보이고 왼쪽으로는 유명한 해남의 공룡능선을 보며 느긋하게 트레킹을 할 수 있다. 바다, 산, 섬 그리고 갈대가 어우러진 풍광은 도보여행자들의 마음속을 시원하게 적셔줄 것이다.

 


기사 관련 사진
▲ 백운동 백운동 정원은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정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정원으로 불린다. 다산 선생은 월출산을 탐방하면서 백운동에서 며칠을 머무셨다. 한마디로 백운동을 베이스캠프 삼으셨던 것이다. 백운동의 숲에 감탄하셨던 다산 선생은 13편의 시를 지었고, 제자였던 초의선사에게 백운동 일대를 그림으로 그리게 하셨다. 그렇게 작성된 화첩이 지난 2001년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백운첩이라는 이름으로. 초가집 위로 단풍이 곱게 든 모습이 인상적이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이진성터: 이진성터는 현재 해남군 북평면 이진리에 속한다. 자연석을 이용하여 축성된 옛 이진성은 해안방어 기지로 이용되었다.

이 담장은 성의 일부였다고 판단되는 석축인데 지금은 농가의 돌담으로 쓰이고 있다. 사진 왼쪽처럼 석축의 일부가 무너져 내리기도 했다. 

 

 

 

 

 

 

 

 

* 이진성터: 옛 이진성은 구릉지대를 이용하여 석축을 쌓았다고 한다. 해남에서 제주도로 들어가는 항구였던 이진에 성을 축조했던 것이 이진성이었던 것이다.

 

 

 

 

 

 

 

 

역사트레킹의 마스터로서 본인이 가장 시급하게 생각하는 것은 트레킹 코스의 개발이다.

필드가 있어야 역사트레킹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국내 유명 문화재를 검색한 후 서로 서로간의 지점을 연결하여 자동차로 이동을 하면 편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역사트레킹은 그런 수학여행식의 '버스 뺑뺑이'를  자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해당 문화재를 방문하는 것만으로 그치지 않고 도보여행을 통해 몸과 마음을 넉넉히 살찌우자는 것이

역사트레킹의 대원칙이기 때문이다.

 

지덕체가 골고루 함양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좋은 문화유산과 함께 좋은 트레킹 코스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수백년의 세월을 이겨낸 장엄한 문화유산과 함께 탄성을 자아내는 유려한 풍광의 도보여행길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럼 좋은 역사트레킹 길이란 무엇일까?

필자는 이렇게 생각한다.

 

1. 유려한 풍광

2. 안전성

3. 접근성

4. 명확한 IN_OUT(타 교통편과의 연계)

5. 이용성

 

이 외에도 몇가지 사항이 있으나 중복되는 부분이 있어서 생략한다. 또한 역사유물 존재 유무도 생략한다. 역사유물이 없는

역사트레킹은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 제주의 현무암: 이진 항구에는 저렇게 제주산 현무암이 즐비했다. 이 돌들은 제주도에서 군마를 실어올 때 배에 함께 실린 돌들이라고 한다. 항해에 익숙지 않은 말들이 요동을 치면 배가 전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일부러 배의 중량을 늘이려고 저런 돌들을 갑판 아래에 실었다고 한다. 한마디로 저 현무암들은 중심돌 역할을 했던 것이다. 해남에 와서 역할을 다한 현무암은 이진 항구의 갯벌에 버려졌다.

그래서 이진항 일대는 제주도가 아닌 육지 항구에서 가장 많은 현무암들이 발견된다.

 

 

* 이진성 우물: 이 우물은 옛 이진성에 식수를 공급했던 우물이었다. 옛 이진성터에는 이 우물을 포함해서 2개의 우물이 있다.

 

 

 

 

 

 

역사트레킹의 코스가 10Km 정도이다. 필자는 그 10km 안에 많은 것을 담고 싶다. 해당 문화재는 물론 걷기에 안전하고 풍광이 유려한

길을 소개하고 싶다. 숲길도 있고, 바다도 보이고, 계곡도 보이는 그런 명품길으로 역사트레킹을 떠날 생각이다.

당연한 것 아닌가? 기왕하는 트레킹, 안전하고 풍광이 수려한 길을 걸어야 하지 않겠나?

 

아스팔트 길을 걸을려면 트레킹을 할 필요도 없다. 바퀴가 열 개 달린 24톤 짜리 트레일러와 '맞서 싸우며' 걷기 여행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목숨 내놓고, 또는 매연을 들어 마시며 도보여행을 한다는 건 어불성설이기 때문이다.

한편 국도변에 널부러진 로드킬 당한 야생동물의 시체들을 보는 것도 고역이다. 내장이 터지고, 안구가 튀어나온...-_-

 

명품 역사트레킹 코스를 개발하는 것은 마스터인 필자의 몫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코스를 개발하기 위해 백방으로 알아본 결과 한가지 아이템이 떠올랐다. 바로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를 탐방한 후에

이거다 하고 아이디어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삼남길은 서울에서 해남까지 만들어지고 있는 도보여행 길이다. 현재는 전남구간이 개통되어 있고, 다가오는 2013년 5월 25일에 

경기도 구간이 개통된다. 조선시대 8대 대로 중에 하나였던, 옛 삼남대로를 기본축으로 하여 만들어지고 있는 삼남길은

그 자체로 하나의 많은 역사적 유물을 담은 길이다. 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우리 역사트레킹도 삼남길을 많이 걸을 것 같다.

 

글을 마치기 전에 해남 이진성터에 대한 이야기를 해본다. 현재 이진성터는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해들길)에 놓여 있다.

옛 이진 나루는 제주도를 향하는 배가 출항하는 항구였다. 그래서 이진 항구 위쪽으로는 남창이라 하여 제주도에서 수치한

공물들을 축적하는 창고가 있었다. 현재의 지명은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이다.

 

 

 

 

 

 

* 해들길: 해들길은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를 지칭하는 애칭이다.

삼남길은 서울에서 해남까지 600Km에 걸쳐 조성되는 국내 최장거리 트레킹 코스다.

 

 

 

 

 

 

 

옛 삼남대로의 종점은 옛 이진성이었다. 땅끝 전망대가 있는 땅끝마을이 삼남대로의 종점이 아니었던 것이다. 사실 땅끝 개념은

근래에 들어선 개념이다. 조선시대에는 굳이 땅끝 개념을 쓸 필요가 없었다. 오히려 이진항이 더 좋은 지리적인 잇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진항 바로 옆으로 완도의 부속섬인 달도가 있고, 그 뒤쪽으로는 완도 본섬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 완도로 내왕하기도 편했고

제주도로 나아가기에도 수월했던 곳이 바로 옛 이진항이었다. 그래서 조선시대 삼남대로의 종착점도 이진항이었던 것이다.

옛 이진성은 그런 전략적 요충지인 이진항을 보호하기 위해 축성됐다고 한다. 또한 조선 후기에 수군만호부가 자리잡았다고 한다.

 

역사트레킹은 이렇게 역사유물을 직접 답사하고, 이후에는 트레킹을 통해 즐거운 도보여행을 하는 것이다.

실제로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인 해들길에는 시원한 바다 풍광과 함께 숲길이 펼쳐진다. 역사유물을 직접 탐방하고

즐겁게 해안길과 숲길을 걷는 것이다.

역사지식도 쌓고 트레킹도 할 수 있으니 얼마나 흥미로운 일인가? 단순한 도보여행과는 차원이 다른 것이다~!

 

 

 

  

 

 

 

 

 

 

 

 

 

 

 

 

 

 

* 이진성터: 옛 이진성터는  1999년에 일부 구간이 복원됐을 뿐이다.  

 

 

 

 

 

 

 *이진성터

 

 

 

 

 

 

 

* 현무암: 이진항에 있는 제주산 돌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