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달사지 석불대좌
2021년 5월 27일 목요일
3일간의 강원도 평창 오대산 일대 탐방을 마친후 경기도 여주로 향했다. 벼르고 있던 여주 고달사지를 찾아가려고 한 것이다. 아시분들은 아시겠지만 뚜벅이들에게 답사여행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해당 문화재가 읍내 근처에 있으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다수니까. 하루에 서너편밖에 없는 시골버스를 놓쳤다가는... 택시를 타라고? 돈이 어딨어!
지도를 검색해보니 그나마 경기도 양평군에 있는 양동역에서 고달사지로 가는 버스편을 타는게 제일 나은 듯싶었다. 하지만 필자의 뜻대로 됐겠는가? 뭐 워낙 이런 일에는 이골이 난터라 새삼스럽지도 않다. 결론적으로 말해 버스를 잘못타고 해서 2시간 이상을 걸었고, 고달사지에는 해가 진 이후에 도착했다. 그래서 사진들이 다 어둡게 나왔다. 이렇게 뚜벅이들은 문화재 답사하기가 어렵다.
내리는 곳을 지나쳐서 급하게 버스에 내렸다. 그런데 알고보니 필자가 탔던 버스는 원래부터 고달사지까지 가지 않는 버스였다. 가는 방향만 비슷할 뿐 하차해서 약 4km 이상을 걸어가야 했다. 혼자 궁시렁거리면서 방향을 다시잡고 이동을 했는데 옆쪽으로 무언가 보이는 것이다.
"앗! 버스를 잘 못 탄 이유가 있구만. 저걸 보려고 여기에 내리게 된 거였어!"
선돌이었다. 여주 석우리 선돌. 경기도 기념물 제132호로 지정된 석우리 선돌은 청동기 시대의 유물로 알려졌다. 입석이라고 불리는 선돌은 옛 선인들의 신앙의 대상이었다. 이를 두고 거석숭배문화라고 부른다. 석우리 선돌이 자리잡고 있는 곳은 주위 산들이 완만하게 둘러져있고, 앞으로는 금당천이 흐르고 있는 곳이다. 이곳은 예전부터 마을이 형성됐고, 그 주민들이 선돌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고 전해진다. 선돌 인근에는 마고 할멈이 물레질을 했다는 넓은 돌이 있는데 이 대석은 제단으로 쓰였을 거라고 추측된다.
석우리 선돌은 높이가 2.45미터라 그렇게 크지는 않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옛 선인들의 신앙의 대상을 만날 수 있어서 나름대로 의미가 있었다. 선돌이 필자를 불렀나, 아니면 필자가 선돌을 불렀나... 한편 옛날 표지판을 보는 재미도 있었다. 표지판에는 '여주군석우리선돌'이라고 기재되어 있었다.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됐을 때가 1992년이었으니 '여주시'가 아니라 '여주군'으로 표기된 것이다. 여주군이 여주시로 승격된 시기는 2013년 6월이었다.
* 석우리 선돌
우여곡절 끝에 고달사지에 도착했다. 이미 해가 거의 진 상태였다. 마음이 급해졌다. 잘못하면 또 심령사진처럼 이상한 사진만 찍게될 거 같았다. 주위를 둘러보고 산세도 가늠해보고... 이런 것도 없이 그냥 빠르게 셔터를 눌렀다. 큰 폐사지를 빠르게 움직이며 사진을 찍어댔다.
혜목산 아래 넓직하게 자리잡고 있던 고달사는 764년, 신라 경덕왕 23년에 창건됐다고 전해진다. 고달사는 남한강 물길과 가까이에 있다. 한강 유역을 차지한 신라는 이곳의 관리를 위해 사찰의 건립을 하였는데 유명한 신륵사도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신륵사, 고달사, 법천사, 흥법사, 거돈사 등등... 남한강 수계에는 큰 사찰들이 들어섰고 고려시대에는 더 크게 번성하게 된다.
하지만 시간은 강물처럼 흘러갔고 사찰들도 쇠락하기 시작했다. 현재 신륵사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 폐사되었다. 그래서 남한강 수계를 따라가면 폐사지들을 여럿 만날 수 있다. 폐사지 답사는 역사의 시간을 되돌아볼 수 있는 좋은 여행이다. 하지만 폐사지라서 그런지 좀 쓸쓸하다. 가을 낙엽이 날릴때 행하면 아주 더 쓸쓸할 거다. ㅋ
고달사(高達寺)는 '도의 경지를 통한다'라는 뜻을 가졌다. 고달사에는 석조물들이 많았는데 모든 석물들은 석공 '고달'이 다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석공 고달은 가족들이 굶어죽는 줄도 모르고 석물 만들기에 매달렸다. 이윽고 석조물들은 다 완성됐고 고달은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된다. 이후 그는 도에 통달했으니, 이에 고달사가 됐다는 전설따라 삼천리같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고달사지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것은 석불대좌이다. 보물 제8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달사지 석불대좌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대좌이다. 높이가 1.57미터인 고달사지 대좌는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다른 석조대좌들이 원형이나 팔각형으로 되어 있는 것과 다른 면모다. 비교적 원형이 잘 갖추어져 있고 그 모양새가 세련돼 고달사지에서 가장 눈에 띈다고 할 수 있다.
그러고보니 사각형 석불대좌는 강릉에 있는 안국사지에서도 보았다. 안국사지는 관음리 5층석탑이 있는 곳인데 이 폐사지에도 사각형 석불대좌가 있는 것이다. 안국사지의 석불대좌는 고달사지 대좌보다 규모는 작았고 세련미도 좀 떨어지긴 했다. 그래서인지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되는데도 아직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았다. 그나저나 안국사지를 방문했을 때도 어두운 밤이었고, 고달사지를 방문했을 때도 해가 떨어진 뒤였고... 그래서 사진이 다 심령사진처럼 찍혔고...ㅋ
* 원종국사혜진탑비
정말 사진들이 엉망이라 사진을 내거는 게 좀 민망할 정도다. 그래도 보물 제6호로 지정된 원종국사혜진탑비는 좀 언급해야겠다. 옛날 고달사지 사진을 보면 원종국사혜진탑비는 현재의 모습처럼 생기지 않았다. 몸체라 불릴수 있는 비신 부분이 없었다. 그래서 받침돌인 귀부와 머릿돌인 이수만 있었다. 몸체가 없었지만 워낙
귀부와 이수가 커서 그랬는지 마치 거북이 장갑차처럼 보일 정도였다. 하지만 2014년에 비신이 복제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사실 비신은 1915년에 넘어져 8조각으로 깨졌다고 한다. 무슨 조각 피자도 아닌데 8조각이나... 그렇게 훼손된 오리지널 비신은 이후 정비가 됐고, 경복궁을 거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원종대사 찬유는 신라말에 태어나 고려 광종 때 입적을 하셨는데 그때 나이가 90세라고 한다. 광종은 그를 왕사라 삼았고, 그가 열반에 이르자 원종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고달사는 원종대사 때 크게 중창이 됐던 것이다.
옛날 자료에는 고달사지 일대가 전부 논과 밭으로 나온다. 하긴 폐사지는 평평하니 곡식을 기르기에 안성맞춤이었을 것이다. 그러다 고달사지 일대가 대대적으로 발굴되고, 답사지로 각광을 받게된다. 답사를 마치고
돌아가려고 하는데 어떤 남자가 차에서 내려 말을 건냈다.
"별보러 오셨어요?"
"예, 별이요?"
"천문동호인 아니세요?"
"아닌데요. 저는 문화재 보러 왔는데요."
알고보니 고달사지 주차장이 별을 보는데 딱 좋은 곳이라고 한다. 그래서 날씨가 좋은 날에 천문동호인들이 간간이 와서 별을 본다는 것이다. 그러고보니 고달사지는 아주 컴컴했다. 그 흔한 가로등 시설도 없었다. 그러니 별 보러오지.
"여기서 고달사지라고 폐사지의 메카같은 곳이에요. 그래서 저는 문화재 탐방하러 온 거죠."
"그렇군요. 저는 별 보는 거 좋아해서 가끔 이곳에 왔어요. 주차장도 넓어가지고 장비 세팅하기도 좋고 하니까요."
한 장소를 두고 서로가 다르게 이용을 했다. 그래도 폐사지에 왔으니 별보는 것보다는 문화재를 보는게 제격이 아니겠나!
후일담) 버스가 끊긴지 오래고 해서 신륵사 관광지까지 걸어가기로 했다. 그곳에 가면 숙소가 있을 거 같아서. 약 10km 정도가 떨어져 있었는데 열심히 걸어갔다. 다행히 하천 뚝방길이 잘 되어 있어서 안전하게 갈 수 있었다.
알고보니 석우리 선돌 앞에 흐르고 있던 금당천을 따라 걷고 있었다. 석우리는 상류였고 신륵사 방향은 하류쪽이었다. 이 일대도 고달사지처럼 아주 컴컴했다. 하긴 인적도 드문 곳에 무슨 가로등이 있었겠는가! 그래서 금당천이 무척 고마웠다. 안전하게 갈 수 있게 뚝방길이 되어 있으니. 이름도 얼마나 이쁜가, 금당천!
그렇게 어두컴컴한 금당천을 따라 걷는데... 보름달이 너무 예쁜 것이다. 이날 보름달은 '슈퍼블러드문'이라고 대보름달이었다고 한다. 주위가 어두우니 보름달이 더 명징하게 보였던 것이다. 별 대신 달을 본 것이다.
그날 뚝방길 걷기가 재밌었나보다. 아직까지도 기억에 많이 남는다.
우연하게 인조반정과 관련이 있는 원두표의 묘도 확인해두었다. 원두표는 창의문을 도끼로 부수고 도성으로 처음 입성한 무장이었다. <인왕산 역사트레킹>을 행할 때 창의문 앞에서 항상 원두표이야기를 했었는데 그의 묘가 경기도 여주에 있는지는 처음 알았던 것이다.
나중에 기회가되면 금당천을 한 번 더 걸어보고 싶다. 야간에, 그것도 대보름달이 뜰 때 말이다. 요즘은 야간트레킹을 자제하려고 하는데 그래도 금당천은 야간에 걸어야 더 재밌게 걸을 수 있을 거 같다.
* 고달사지 석조
* 고달사지 승탑
* 원두표 묘지: 사진 오른쪽 상단에 달이 보인다. 사진으로 찍으니 작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말 큰 보름달이었다.
'역사트레킹(History Trekking) > 역사트레킹_안내_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등산> 한 번에 천 년 고찰을 두 개나 방문했다고? (0) | 2021.09.12 |
---|---|
<성주사지> 석불도 있고, 탑도 4개나 있어서 외로움이 덜하네! (0) | 2021.09.04 |
<오대산선재길> 천하 명당이라서 그런거야? 이 얼마나 좋아! (0) | 2021.07.17 |
<두타산> 무릉계곡에 자리깔고 신선이나 되볼까? (0) | 2021.07.06 |
<정동진> 파도가 철썩거리는 바다 위를 걷다!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