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답사 1번지, '강진군' 사용법을 소개합니다___1편

빼어난 갈대밭 코스, 빠질 수 없는 다산초당 등...남도의 매력

13.12.06 14:16l최종 업데이트 13.12.06 17:52l

 

 

 

 

 

기사 관련 사진
▲ 이진항 이진성터 위쪽 언덕배기에서 찍은 사진이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남도로 향하는 길은 언제나 즐겁다. 산, 들, 바다가 서로 어우러진, 그런 아기자기한 남도의 풍광들을 벗 삼아 길을 걷다보면 발걸음도 가벼워진다. 그렇게 걷다가 허기가 지면 푸짐한 남도 음식으로 배를 채울 수도 있다. 자, 그럼 아기자기한 풍광 속에서 즐겁게 트레킹을 할 수 있는 남도로 떠나보자!

필자가 찾은 곳은 전남 강진군이다. '남도 답사 1번지'라고 불리는 강진군은 다산 정약용 선생이 18년 동안 유배생활을 했던 곳으로 유명하다. 다산 선생은 만덕산 기슭에다 다산초당을 짓고 그곳에서 집필 활동과 후학 양성에 힘썼다. 강진에서 무려 20년 가까이나 생활 하셨던 만큼 강진 곳곳에는 다산 선생의 자취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그런 자취를 따라서 강진을 찾는 이들도 많다. 그런 모습을 보면 이런 생각까지 들 정도다.

'정약용 선생이 강진을 먹여 살리고 있다!'

 



# 정약용과 강진

물론 비약이 심한 말이다. 그래서 필자에게 손가락질을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산 선생이 강진에 유배를 오지 않았다면, 강진이 '남도답사 1번지'라는 수식어를 부여받을 수 있었을까? 만약 다산의 자취가 없었다면, 굳이 강진으로 답사 여행을 떠날 필요가 있을까? 한편 다산 선생의 생가가 경기도 남양주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많은 반면, 그의 유배지가 강진이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것도 필자의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여행기의 거점은 강진군 버스터미널이다. 강진군은 해남, 장흥, 영암과 인접해 있어 남도여행에 중심축 역할을 하는 곳이다. 그래서 강진터미널에서는 인근지역으로 연결되는 시골버스들이 꽤 많은 편에 속한다. 위에서 언급한 주변지역 뿐 아니라 완도군에 있는 약산면(조약도) 당목항까지도 연결된다. 당목항까지 가는 버스는 남도 섬 여행 버스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그만큼 아름다운 다도해 해상을 시원하게 질주한다.   

 

기사 관련 사진
▲ 이진항 이진항은 작고 아담한 포구다. 앞에 보이는 섬은 완도군의 달도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해남군 북평면에 있는 이진성터도 강진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여 도착했다. 북평면은 완도대교가 있기 때문에 완도로 진입하려면 반드시 이곳을 거쳐야 한다. 북평면 면사무소가 있는 곳에서 이진성터까지는 그리 멀지 않다. 현재 이진성터는 삼남길 전남구간 3코스(해들길)에 놓여 있다.

 


# 삼남대로의 내륙 종착점, 해남 이진성

여기서 잠깐 삼남길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해보겠다. 삼남길은 옛 삼남대로를 계승한 길로 도보여행을 하기에 적합한 트레일(trail: 오솔길, 소로길)이다. 특히 전남구간(14개 코스, 228km)은 남도를 종단하기에 코스 하나하나가 다 명품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옛 삼남대로는 한양 숭례문에서 시작하여 제주도까지 연결되었던 길이다. 그 길을 따라 관헌들은 부임지로 말을 몰았고, 보부상들은 장마당으로 발걸음을 분주히 옮겼다. 정약용·정약전 형제가 눈물을 흘리며 유배지로 향했던 길도 바로 옛 삼남대로였고, 권좌에서 쫓겨난 광해군이 제주도로 유배를 갈 때 걸었던 길도 삼남대로였다. 그렇듯 삼남대로는 기쁨과 슬픔이 교차하는 곳이었다. 한마디로 삼남대로는 그 자체가 역사의 현장이었던 셈이다.

이진성은 옛 삼남대로의 내륙 종착지였다. 이진성은 삼포왜란과 임진왜란 이후 그 전략적 가치가 높아져 숙종 임금 시기에 수군만호부가 개설된 곳이기도 했다.

기사 관련 사진
▲ 공룡능선 이진항에서 바라본 해남의 공룡능선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이진성은 종점이자 시작점이기도 했다. 해남에서 제주도로 가는 관선의 출항지가 이곳 이진항이었던 것이다. 지금도 이곳에는 작은 포구가 있는데 조선시대에는 이 항구에서 제주도로 향하는 배가 입·출항을 했다.

그래서 아직도 이 항구 곳곳에는 제주도에서 실어온 돌(현무암)들이 널려있다. 이 현무암들은 제주도에서 군마를 실어올 때 균형축 역할을 했던 돌들이다. 항해에 익숙지 않은 말들이 선내에서 요동을 치면 자칫 배가 전복될 수 있기에 일부러 돌을 실어 배의 총중량을 늘렸던 셈이다. 역할을 다한 돌들은 이진항에 버려졌고 그 자리에는 남도의 곡식들이 선적됐다.

앞서 언급한 북평면 면사무소 일대는 조선시대 남창이라는 창고가 있던 자리다. 남창은 제주도에서 수취한 공물들을 모아두었던 곳인데 이진성과는 불과 1km 남짓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한마디로 이진성과 남창은 한 테두리로 묶일 수 있는 것이다.

역사적인 의미 외에도 이곳은 빼어난 갈대밭 트레킹 코스를 자랑한다. 가을 억새밭 산행과는 다른 느낌의 갯벌 갈대밭 트레킹을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갈대밭을 따라 걷다보면, 오른쪽으로는 바다 너머 완도 본섬이 보이고 왼쪽으로는 유명한 해남의 공룡능선을 보며 느긋하게 트레킹을 할 수 있다. 바다, 산, 섬 그리고 갈대가 어우러진 풍광은 도보여행자들의 마음속을 시원하게 적셔줄 것이다.

 


기사 관련 사진
▲ 백운동 백운동 정원은 담양 소쇄원, 보길도 부용정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정원으로 불린다. 다산 선생은 월출산을 탐방하면서 백운동에서 며칠을 머무셨다. 한마디로 백운동을 베이스캠프 삼으셨던 것이다. 백운동의 숲에 감탄하셨던 다산 선생은 13편의 시를 지었고, 제자였던 초의선사에게 백운동 일대를 그림으로 그리게 하셨다. 그렇게 작성된 화첩이 지난 2001년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백운첩이라는 이름으로. 초가집 위로 단풍이 곱게 든 모습이 인상적이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