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조사 석조관음보살입상: 고려 초기에 세워진 것으로 생김새와 조각기법 등이 논산 관촉사 석조관음보살입상과 유사성을 띄고 있다.

안동 이천동 석불상, 관촉사 석불 등 고려 초기의 석불 등은 위 사진처럼 아주 거대한 크기로 제작됐다. 전체 높이가 10미터가 넘는 대조사 석상은

그냥 봐도 투박하다. 인체 비례도 맞지 않다. 이천동 석상이나 관촉사 석상도 마찬가지다. 왜 고려 초기 사람들은 이토록

투박하고 '얼큰이' 같은 석불을 제작했을까? 그들의 조각 실력이 미천해서???

 

 

 

 

* 대조사 뒷길 단풍: 대조사 탐방을 마친 후 임천면 면사무소 방면으로 길을 걸을 때 이 단풍나무들을 만났다. 생각지도 못한 단풍놀이를 해서 무척 흥이 났다.

 

 

 

 

 

---> 이 여행기는 유홍준 선생님과 함께 하는 부여답사기에 참여를 하고 작성한 포스팅입니다. 현재 충남 부여에 둥지를 튼 유홍준 선생님은 부여문화원의 요청으로 2009년 4월부터 부여답사 여행에 가이드를 하시고 계십니다. 1회 답사여행의 정원은 80명인데, 유홍준의 네임밸류가 있어서 그런지 접수와 동시에 마감이 된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부여문화원을 통해서 부여답사를 한 게 아닙니다. 눌와출판사라는 곳에서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2>가 새롭게 나왔는데, 신간 발행 기념으로 답사이벤트를 진행했고, 저도 운이 좋게 답사에 참여를 하게 된 것입니다.

 

눌와출판사 탐방단 일행 40여 명은 부여문화원이 주관한 답사에 서로 결합하는 형식을 취했습니다. 그래서 11월 3일에 있은 부여답사 일행은 총 120명이나 됐답니다. 뜻깊고 알찬 행사를 주관해주신 눌와출판사와 부여문화원측에 감사를 드립니다. 덕분에 저도 좋은 답사여행을 했고, 현장에서 바로 책도 한 권 구매를 했습니다. <유홍준의 국보순례>라는 책을 사서 유홍준 선생님에게 직접 저자 사인도 받았습니다.

 

아! 정말 이런 문화 체험이벤트는 정말 좋습니다. 저자도 만나고, 책에 기술된 현장에 대한 답사도 하고. 꿩먹고 알먹고...ㅋ 기회가 닿는다면 <유홍준의 국보순례>에 대한 서평도 한 번 써보고 싶네요.

 

 

 

 

 

# 아웃도어와 문화답사

 

나는 아웃도어 여행을 즐겨하는 터라 단독여행이나 소규모 여행을 선호한다. 그래서 가이드 여행을 많이 해보지 않았다. 일부러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런 여행을 할 기회가 별로 없었고, 할 필요도 못 느꼈다. 가이드여행이라면 여행의 주도권을 내가 아닌 가이드들이 행사하는 것인데, 그것이 별로 탐탁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행의 주체자는 어디까지나 내 자신 스스로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물론, 이런 사고방식이 꼭 좋은 것은 아니다. 내가 알지 못하는 부분, 미처 내 시선이 담아내지 못하는 부분들을 가이드들이 짚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 된다면, 앞서도 언급했듯이 여행의 주도권은 잠시 접어야 한다. 나는 그런 것이 ‘거시기’했던 것이다.

 

하지만 여행가이드가 유홍준이라면? <나의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의 저자이자 문화재청 청장을 역임한 유홍준이라면? 그거 이야기가 달라질 것이다. 유홍준이 가이드를 해준다면 여행의 주도권을 잡시 접어둔다고 해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유홍준 에 대한 설명은 따로 할 필요가 없지 않나? <나의문화유산 답사기>라는 저서가 많은 것을 대변해주지 않는가 이 말이다. 그러고 보면, 유홍준은 참 복받은 사람이다. 그의 저작물들이 독서인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고, 그로 인해 유홍준이라는 이름 석 자가 대중들에 의해 각인이 됐기 때문이다. 자신이 쓴 책으로 인해 폭넓은 독서 계층을 확보한 저자가 몇 명이나 있을까? 소설가나 시인 같은 문인이 아닌 미술사 저작물을 통해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받고 있는 사람이 도대체 대한민국 지식인층에서 몇 명이나 될까 이 말이다.

 

더군다나 노무현 정권 시절, 유홍준은 문화재청 청장이라는 우리나라 문화재 행정의 수장으로서 그 이름을 날리지 않았던가. 그는 2004년 9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문화재청장 직을 수행했다. 유홍준은 3대 청장을 역임했는데, 솔직히 일반 대중들이 유홍준 이외에 다른 문화재 청장에 대해서 아는 사람들이 있을까? 현재 문화재 청장은 김 찬씨인데, 그는 6대 청장이다. 그런 대중적 관심도와 인기로 인해, 유홍준은 <1박 2일>이나 <놀러와>와 같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도 출현을 했다.

 

 

 

 

* 장하리 삼층석탑과 유홍준 쌤: 유홍준 쌤은 특유의 언변으로 답사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 부여의 가을: 단풍이 예쁘게 색깔을 머금고 있어 카메라에 담아 보았다.

 

 

 

 

# 아웃사이더 기질이 있던 유홍준

 

 

하지만 그도 탄탄대로만을 걷지는 않았다. 기억하시는가? 2008년 2월에 있은 숭례문 방화사건을 말이다. 당시 신병을 비관한 한 남성이 불을 질러 숭례문이 전소된 사건 말이다. 당시 문화재청장이었던 그는 유럽 출장 중이었다고 한다. 국내에 머물고 있지 않았지만 국보 1호인 숭례문의 상징성 때문에 문화재 행정의 수장이었던 유홍준은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했다.

 

또한 유홍준은 풍운아 같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1967년 서울대 미학과에 입학한 그는 1981년 홍익대 대학원에 입학해 미술사학으로 석사과정을 밟는다. 1967년부터 1981년 무려 14년의 시간적 간극은 무엇을 의미하고 있을까. 1967년부터 1981년 사이의 대한민국의 당시 상황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면 유홍준이 걸었을 길이 순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쉽게 짐작 할 수 있다. 사실 그 기간 동안 유홍준은 학생운동으로 인해, 투옥되는 고초를 겪기도 했다. 그런 폭압적인 정치 세력과의 갈등과 고민, 우리문화에 대한 사랑은 <민족미술협의회> 발족으로 이어지게 된다. <민족미술협의회>는 <민족문학작가회의>와 비슷한 성향의 단체로 보시면 될 것 같다. 단지 구성원들이 다를 뿐 우리문화, 우리문학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공통분모로 두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학문적 과정도 마찬가지다. 1967년 서울대 미학과 입학, 1981년 홍익대 대학원 석사과정(미술사학과), 1988년 성균관대 대학원 박사과정(예술철학) 등 계속 학교를 옮겨 가면서 공부를 하게 된다. 학부, 석사, 박사 과정을 한 대학교에서 수학하는 통상적인 방식이 아니었고, 하나의 테마에 집착한 학문 과정도 아니었다. 석사학위와 박사학위가 다른 것을 보면 그가 걸어간 학문적 길이, 깊이보다는 넓이에 주안점을 두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 유홍준의 면모를 보면서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우리나라 지식인 사회 풍토상 '넓이'에 주안점을 두었으면 전문성이 없다는 평가를 받으며 폄하를 받지 않던가. 그럼 유홍준은 지식인 사회에서 어떤 평가를 받았을까? 위에 언급 그대로다. 우리나라 지식인 풍토가 그리 너그럽지 못하지 않던가. 풍운아에 대한 대접을 적절하게 해주었을 것이라고 생각이 들지 않는다.

 

이야기가 길어졌다. 이번 부여 문화답사 행사는 눌와출판사에서 진행을 했는데, 신간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2> 발행 기념으로 마련된 것이다. 나는 인터넷 서점 알라딘을 통해 본 행사에 지원을 했는데 운이 좋았는지, ‘끝발’로 당첨이 되어 11월 3일(토요일) 부여 답사에 나설 수 있었다.

 

 

 

 

 

* 대조사 석조관음보살입상: 카메라 각도를 다르게 해보니 마치 석불이 숨바꼭질 하는 모습처럼 보인다.

 

 

 

 

  * 반교마을의 석등: 유홍준 선생의 반교마을 집에 있는 석등. 지리산 실상사에 있는 석등을 '카피'하여 세웠다고 한다.

 

 

 

 

* 유홍준과 나무들: 유홍준 쌤은 자신의 독자들과 사진을 찍는게 익숙하신지 아주 자연스러운 포즈를 지으셨다.

 그에 비해 나무들(필자)은 굳은 표정이다.ㅋ 뒤쪽에 서있는 여자분은 눌와출판사 직원 분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