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머리'가 되도 좋아!


돌담 쌓기가 그렇게 어려울 줄이야~!




16.07.25 09:47 최종 업데이트 16.07.25 09:47

             곽동운(artpunk)             







     

 
▲ 돌담 완성된 돌담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돌담은 정겹습니다. 돌담을 끼고 걷는 것만으로도 푸근함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돌담 쌓기는 만만치 않은 작업입니다. 우선 '손'이 많이 갑니다. 그렇게 만만치 않은 돌담 쌓기 작업을 해봤습니다. 저는 현재 거창귀농학교라는 곳에 기거하고 있는데 그곳의 외부 담벼락이 붕괴됐습니다. 그것을 수리하는 데 제가 '발품'을 팔았습니다.

돌담을 쌓으려면 황토 흙을 반죽해야 합니다. 밀가루 반죽하듯이 반죽해야 합니다. 그래야 찰기가 생기니까요. 황토를 손으로 반죽할 수는 없습니다. 발로 밟아야 합니다. 그런데 그게 굉장히 어려운 작업입니다.

그 황토반죽 작업을 제가 맡았습니다. 맨발로 황토를 밟는데 마치 늪에 발이 빠지는 느낌이 들더군요. 찰기 때문이죠. 그렇게 맨발로 하다 보니 흙 속에 숨어 있는 작은 돌들에 상처가 나기도 합니다. 장화를 신고 싶어도 장화를 신을 수가 없었습니다.

장화가 본드에 붙은 것처럼 반죽에서 안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한 발 떼기도 힘들 정도였습니다. 황토 반죽을 고무 대야에서 하는 이불 빨래 정도로 생각했다가 아주 큰 코 다쳤습니다.
 






 
▲ 무너진 돌담 무너진 저 돌담을 수리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무너진 돌담. 뒤쪽에서 본 모습







그렇게 반죽된 황토를 바르고 돌을 올렸습니다. 돌담에 쌓는 돌들은 계곡돌이라고 해서 좀 매끈한 녀석들을 쓰는 게 좋습니다. 그 계곡돌들을 층층이 쌓은 후 진흙으로 빈틈을 채우게 되는 것이죠.
 

ad

마지막으로 기와를 올렸습니다. 동네의 돌담들은 그냥 돌만 올리지만 우리는 예전부터 기와까지 올렸기에 그렇게 한 것입니다. 암키와를 올리고, 수키와를 덮고... 옛 우리조상들이 쌓았던 방식과 동일하게 돌담을 쌓게 된 것이죠.

돌담을 쌓다보니 옛날 성을 쌓았을 때의 모습들이 유추되더군요. 서울성곽 같은 경우, 우리가 보고 있는 성체는 조선 후기 이후에 중수한 것들입니다. 두부돌이라 불리는 거대한 장판석(長板石)이 그것들입니다. 하지만 조선 초기에는 잔석(殘石)이라 하여 크기도 작고, 형태도 울퉁불퉁한 돌들로 성체를 올렸습니다.


잔석들은 퍼즐 조각처럼 딱딱 들어맞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딱 들어맞지 않는 부분에는 황토가 들어갔습니다. 찰기가 살아있는 황토가 잔석들의 빈 공간을 채워주었던 것입니다. 그렇게 황토 흙도 성체의 일부분이었던 것입니다.







 

 
▲ 돌담 쌓기 반죽된 황토를 바르고 돌들을 올린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황토 반죽. 저렇게 반죽을 하면 본드가 부럽지 않을 정도다.






그냥 벽돌에다 시멘트 발라서 올리면 작업은 편해질 테지요. 하지만 시멘트가 발린 벽돌담은 돌담처럼 정겨움을 주지 못합니다. 시멘트는 갈라지면 흉하게 보이지만 돌담은 갈라져도 그것 자체로 보기가 좋습니다.

돌담 작업을 하느라 제 옷은 황토로 뒤범벅이 돼버렸습니다. 옷이 완전히 진흙탕이 된 것이지요. 하지만 조상들의 작업 방식과 동일하게 돌담을 올렸다는 것만으로도 뿌듯한 일이었답니다.

돌담작업을 하다 보니 서울성곽을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지겹게 봐왔고, 수도 없이 탐방했던 서울성곽인데 눈앞에 돌담을 보니 불현듯 서울성곽이 그려지는 겁니다.

그러고 보면 저도 우리 돌문화에 깊게 빠진 듯합니다. 서울 성곽길을 걷고, 돌담길에 환호하며, 돌장승들을 탐방하는…. 그렇게 제 머릿속에는 '돌'들이 가득합니다. 우리 옛 조상들의 슬기와 자연미를 담고 있는 그런 '돌'들이 제 머릿속에는 가득한 것입니다. 그럼 제 머리는 '돌머리'인가요?
 






 
▲ 돌담 완성된 모습. 기와까지 올려진 돌담.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