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그 섬에 다녀오다!__ 1편

 

2014 이어도 해양아카데미를 다녀와서 2번째 이야기

 

14.08.01 13:11l최종 업데이트 14.08.01 13:21

 

 

 

 

 

 

 

 
▲ 우도 제주 우도의 명소. 검멀레동굴과 검멀레 해수욕장. '검멀레동굴'은 검은 모래가 있는 동굴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자세히보면 동굴과 해수욕장의 모래는 검은빛을 띄고 있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엉덩이가 들썩였다. 아무리 이어도 해양아카데미에서 진행하는 강연들이 흥미로웠다지만 좀이 쑤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인도어(indoor)보다는 아웃도어(outdoor)에 강한 필자에게, 어떤 강연은 지루하다 못해 '잠의 림프'까지 만나게 해줄 정도였다.



그런 의미에서 주강현, 강은정 박사가 진행한 제주해양문화유적 탐방은 필자의 눈에 붙은 '잠의 림프'를 내쫓아주기에 충분했다. 푸른 바다에 위치한 탐방지들을 시원하게 둘러보았기 때문이다.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 원장인 주강현 박사는 인문학, 민속학, 해양학 등 전방위적인 지식인으로 유명한 분이고, 연구원인 강은정 박사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다크 투어리즘(dark tourism)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분이다. 다크투어리즘은 전쟁이나 학살, 천연재해를 당한 곳을 탐방하면서 역사적인 반성과 성찰을 해보는 새로운 형식의 테마여행을 말한다.

 

 

섬 속의 섬, 우도


제주해양문화유적 탐방의 첫 번째 목적지는 '섬 속의 섬'이라고 불리는 우도였다. 우도는 소가 드러누운 형상이라 하여 우도(牛島)라고 불린다. 여의도보다 조금 더 큰 우도는 '우도 8경'이 있다. 작은 섬이지만 볼거리가 넘쳐나는 곳이다.

해양아카데미 탐방단은 유명한 우도 등대에 올라가 우도와 바다건너 성산 일출봉 일대를 조망하였다. 우도 등대는 섬의 남쪽 쇠머리오름에 있는 등대로 1906년에 처음으로 점등되었다. 2003년에 새롭게 개축하였고, 일대를 등대공원으로 만들어 지금은 우도를 찾는 이들이 꼭 방문해야 하는 필수 코스가 되었다.

 


 

 

 
▲ 우도 우도 등대에서 참가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는 제주대 명예교수 주강현 박사. 사진 중간에 물병을 든 이가 주강현 박사임.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우도 등대 앞에서 주강현 박사는 우리나라의 등대 문화에 대해서 문화해설을 하였다. 초기 등대는 일제가 우리해양을 수탈하기 위해서 세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이런 말을 덧붙였다.


"당시 등대 관리자들은 전부 일본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칼을 차고 근무를 했어요. 관헌들이었죠. 그만큼 일제는 등대를 전략 시설로 본 것입니다."

우도 제일의 명소인 검멀레 동굴 탐방이 이어졌다. 우도봉 아래에 있는'검멀레동굴'은 검은 모래가 있는 동굴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그런지 그 옆에 있는 검멀레 해수욕장은 검은빛을 띄는 모래사장으로 잘 알려진 곳이다. 검은색의 현무암이 오랜 세월 깎이고 깎여 검은색 모래로 변한 것이다.  

 


 

신이 내린 황금그물, 갯담


탐방단은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로 향했다. '신이 내린 황금그물'이라는 갯담을 보기 위해서였다. 갯담은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하는 재래식 어로작업을 말한다.

바닷가에 빌레(너럭바위)로 둑을 쌓아 놓으면, 밀물 때 밀려 들어온 물고기들이 썰물 때에 못 빠져나가고 그 둑 안에 갇히게 된다. 그렇게 갇힌 물고기를 걷어 들이는 방식이다. 원시적인 어업형태지만 가장 친환경적인 어로 형태가 바로 갯담인 것이다. 

 


 

 
▲ 갯담 갯담은 재래식 어로방식이다. 제주에서는 갯담을 원담이라고 불렀다. 밀물을 타고 온 물고기들이 갯담(돌)에 막혀 썰물때 빠져나가지 못한 물고기들을 어획하는 방식이다. 한마디로 조석간만의 차를 이용한 어업 형태다. 충청지역에서는 독살이라고 불린다.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무두망개 갯담.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갯담을 두고 제주에서는 원담이라고 불렀다. 원담에는 다양한 물고기들이 어획됐는데 그 중에서 멸치가 가장 요긴하게 쓰였다고 한다. 제주에서는 멸치를 '멜'로 부르는데 이 '멜'은 식용 뿐아니라 토지의 거름으로도 쓰였다. 척박한 현무암 토양에 밑거름으로 뿌려진 것이다.


탐방단이 찾은 구좌읍 하도리 무두망개 갯담은 넘실대는 제주의 푸른 바다와 잘 어우러져 있었다. 자연미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 있는 인공미였다. 만약 주강현 박사의 설명이 없었다면 그냥 바다쪽에 쌓여진 돌무더기 정도로만 인식했을 것이다. 그만큼 무두망개 갯담과 거기서 이루어진 어로작업은 자연 그 자체였던 것이다.

주강현 박사의 설명을 들어보니 탐방단은 운이 좋았다. 밀물일 때는 갯담이 드러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고보면 인생이든 여행이든 '때'를 잘 맞춰야 하는 것 같다. 밑바닥이 보이는 청정 제주바다 위에 올려진 무두망개 갯담을 바라보니 이국적인 모습이었다. 열대지방에 온 듯 착각이 들 정도였다. 그래서 그런지 어떤이가 이런 말을 했다.

"꼭 다른 나라에 온 것 같아요. 뭐 몰디브나, 남태평양 같은데요..."

 

 

 

 
▲ 무두망개 갯담 한 참가자가 갯담 밖에서 발을 담그고 있다. 얼핏보면 남태평양의 한 휴양지의 모습을 담은 사진 같다.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Q.역사트레킹? 이 말이 좀 생소합니다. 오지트레킹이나 숲길트레킹은 들어봤는데요...?

A. 그렇죠. 조금 생소하실 겁니다. 하지만 역사트레킹은 익숙한 것들의 결합입니다. '역사'와 '트레킹'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입니다. 한마디로 트레킹을 통해서 역사를 익히는 것이죠!

 

 

Q. 트레킹을 통해서 역사를 배운다고요? 그것 참 흥미롭군요!

A. 그렇죠. '아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안다'고 현장에서 직접 문화유산을 관찰하면 그것만큼 좋은 학습이 없으니까요.

 

 

Q. 그럼 역사트레킹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 되나요?

A. 일단 문화유적이 있는 곳에서 마스터가 해당 유물에 대한 설명을 합니다. 그리고는 트레킹이 이어집니다.

 

 

Q. 기존의 문화탐방과 역사트레킹의 차이가 있나요?

A. 기존의 문화탐방은 이동을 할 때 주로 차량을 많이 이용합니다. 어떻게 보면 수학여행식의 '버스 뺑뺑이' 지요. 하지만 역사트레킹은 그런 '편한' 방식에서 탈피하자고 합니다. 역사지식과 아웃도어를 함께 함양하자는 것이 우리의 지향점입니다. 그래서 우리카페의 별칭은 <역사트레킹 지덕체>입니다. 

 

 

Q. 트레킹은 거리는 정도 되나요?

A. 일단 10km 정도가 가장 표준입니다. 즉 문화유산 탐방 이후에 10km 정도 트레킹이 이어지는 것이죠. 그래야 운동효과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꼭 10km를 못 박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보다 더 줄어들 수 있고, 더 늘릴 수도 있지요.

 

 

Q. 트레킹의 강도는 어떻습니까? 등산 식으로 하나요?

A. 기본적인 체력만 있으면 충분히 완주가 가능합니다. 그래서 등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판단됩니다.

 

 

Q. 역사트레킹의 리더를 마스터라고 부르던데 그 의미는 무엇인가요?

A. 역사트레킹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무척 중요합니다. 역사유물 앞에서는 관련 설명을 해야 하고, 트레킹코스에서는 리딩을 해야 합니다. 또한 준비운동과 응급처치도 마스터의 몫입니다.

 

 

Q. 마스터의 역할이 과중한 것 아닌가요?

A. 외형적으로 보면 그런데 실질적으로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을 겁니다. 해당역사 유물에 대한 사전 공부와 트레킹을 리딩할 수 있는 체력만 있으면 누구나 다 마스터가 될 수 있답니다. 물론 아웃도어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필수적으로 있어야겠지요!

 

 

Q. 그럼 역사트레킹의 당면 과제는 무엇입니까?

A. 일단 트레킹 코스의 지정입니다. 역사유물이 있고, 풍광이 유려한 트레킹 코스를 찾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