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내림굿 받은 무당에게 덕담을 들었어요


입춘에 내림굿 받은 박영숙씨 이야기





16.02.23 15:05 최종 업데이트 16.02.23 15:05


  

           


주위에 아는 용한(?) 점쟁이가 있으십니까? 저는 이번 입춘에 한 명 생겼답니다. 제가 '박 보살'이라고 부르는, 일본에서 온 박영숙씨가 바로 그분입니다.

영숙씨는 일본에서 '돈 꽤나' 만진 분입니다. 어려서부터 어려운 형편에 놓였던 그녀는 닥치는 대로 일을 했습니다. '고진감래'라고, 그렇게 어려운 시기를 넘기니 물질적인 풍요가 따라왔다고 합니다. 그래서 도쿄에서 큰 식당을 운영하기도 했고, 나중에는 임대업에 뛰어들었다고 하네요. 요즘 아무리 엔화 가치가 떨어졌다고 하지만 도쿄에서 임대업을 할 정도면 '돈 좀 굴렸다'는 이야기가 아닙니까?

그랬던 영숙씨는 지난 입춘(立春)에 신을 받았습니다. 내림굿을 한 것이지요. 여기서 한 가지! 과거에 '돈 좀 만진' 박 보살은 뭐가 아쉬워서 무당이 되기로 한 걸까요?

"17살께부터 신기(神氣)가 있었어요. 외할머니가 무속인이었다고 하네요. 하지만 그때는 잘 몰랐어요. 제가 무당이 된다는 걸 어디 상상이나 했겠어요?"

하지만 자신이 거부한다고 신기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그걸 거부하면 거부할수록 생채기가 날 뿐이죠. 그렇습니다. 신병(神病)에 시달리게 됩니다. 영숙씨도 원인을 알 수 없는 병 때문에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 응급실에 실려 간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 내림굿 박영숙 내림굿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인간의 길도 혼자, 신의 길도 혼자

그래도 거기까지는 감수할 수 있었다고 하네요. 하지만 '운명의 잔'을 계속 거부하니, 그 잔이 결국 자기 자식에게로 향하게 됐다고 합니다. 자신이 거부하니 하나 있는 아들에게로 그 운명이 넘어갔다는 것이죠. 그 운명이라는 건, 좋은 뜻이 아니겠죠. 아들의 교통사고…. 이후 박 보살은 '운명의 잔'을 집어들기로 결정하게 됩니다.


"저는 인간의 길을 갈 때도 혼자였고, 신의 길을 갈 때도 혼자 갑니다!"


영숙씨가 이런 말을 한 건, 그녀가 고아였기 때문입니다. 그녀는 젖먹이였을 때부터 부모의 품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아주 어려서부터 고아원에서 자랐고, 이름도 고아원에서 지어줬다고 합니다. 일본은 20년 전께 갔다고 하더군요.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듭니다. 이름조차도 고아원에서 지어줬다면, 부모에 대한 정보는 아예 없다는 뜻이 아닙니까? 그런데 그녀는 어떻게 외할머니가 무속인이었다는 것을 알게 된 걸까요? 그건 그녀의 몸에 조상신이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외할머니의 영혼이 박 보살의 몸에 들어온 것입니다. 인간의 길에서는 만날 수 없었던 두 사람이 신의 길에서 서로 만나게 된 것입니다.  

그런 인생 스토리를, 더군다나 '신의 길을 갈 때도 혼자 간다'는 영숙씨의 이야기를 듣고 나니, 무언가 짠한 기분이 느껴지더군요. 그래서 저도 동영상 담당 스태프로 참여하게 됐고, 현장 기록을 토대로 이렇게 기사까지 작성하게 됐습니다.





 
▲ 내림굿 제단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퍼포먼스가 강한 황해도 작두굿

박영숙씨의 내림굿은 2월 4일부터 5일까지, 이틀에 걸쳐 경남 거창군 고제면에 위치한 '아시아1인극협회 한국본부'에서 행해졌습니다. 연극제가 열렸던 소극장에 제단이 차려지고 굿이 거행된 것입니다. 악사가 동원되기는 하지만 굿도 1인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 의미로 1인극제가 개최된 장소에서 굿이 거행되는 것이 어색해보이지 않습니다.

신굿, 신명굿, 강신제 등으로도 불리는 내림굿은 신령의 부름에 답하는 절차입니다. 더불어 신령을 정식으로 받아들여 '몸주'로 삼는 절차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매우 중요한 절차이기에 내림굿을 이끌어 줄 선배 무당이 필요한 것입니다. '신어머니' '신아버지'로 불리는 이들이 바로 그들입니다.

영숙씨는 마고당이라 불리는 서문정을 신어미니로 모시게 됩니다. 마고당은 작두굿으로 유명한 무속인인데, 황해도 작두굿 계보를 잇고 있는 분이죠. 지금 황해도 땅이 휴전선 이북에 있는 만큼, 마고당의 위치는 매우 독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박 보살이 마고당의 '신딸'이 된 만큼 이제 그녀도 황해도 작두굿 '줄'을 잡게 된 것입니다.

본격적인 내림굿 이전에 일반 재수굿 열두거리가 거행됩니다. 거기에 '허주굿'이라 불리는 잡귀를 씻어내는 굿까지 진행돼야 정식으로 내림굿이 거행됩니다. 이렇게 사전에 많은 굿들이 거행되니 1박 2일이라는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황해도 굿은 의복을 여러 번 갈아입고 칼춤을 추는 등, 화려함이 두드러집니다. 이에 대해 아시아1인극제 한국본부장인 한대수 선생은 황해도 굿을 이렇게 평가합니다.

"다른 지역에 비해 황해도나 경기 이북 지역의 굿은 화려함, 즉 퍼포먼스적인 요소가 강조됩니다. 그래서 볼거리가 풍부한 면이 있습니다."

아무리 강신(降神)이 됐다지만 작두를 탄다는 건 두려운 일일 겁니다. 그건 영숙씨도 마찬가지였습니다. 내심 작두가 무섭다며 말끝을 흐리더군요. 그렇다고 안 탈 수가 있을까요? 신을 받고 싶어서 받고, 안 받고 싶어서 안 받을 수가 없듯이, 작두도 타기 싫다고 안 탈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운명은 운명인 거죠!

"아, 좋다! 오늘처럼 기분 좋은 날은 처음이구나! 이 제자 그동안 길을 몰라 헤매였지만…. 오늘에서야 이 길을 가니, 기분이 정말 좋구나!"

천하대장군의 공수(무당에 신이 내려 신의 소리를 내는 일)가 영숙씨의 입을 타고 우렁차게 울려 퍼졌습니다. 영숙씨의 두 발은 날카로운 작둣날 위에 오른 상태였습니다. 신이 잘 강림했다는 뜻입니다. 내림굿이 성공했다는 뜻입니다.





 
▲ 내림굿 내림굿에 임하는 박영숙
ⓒ 곽동운

관련사진보기





입춘에 들은 덕담

갓 내림굿을 받은 무당의 신기가 가장 좋다는 건 다들 아실 겁니다. 그래서 강신자(降神者)에게 공수를 받기 위해 사람들은 줄을 섭니다. 저도 줄을 섰습니다.

"2년 내에 좋은 일이 있을 거야. 그때까지만 참어!"

박 보살은 제게 그런 공수를 줬습니다. 얼핏 보면 2년만 지나면 성공한다는 뜻이니 좋은 거지요. 하지만 저는 이렇게 반론을 하고 싶었습니다.

'이제까지도 계속 참았는데, 또 2년을 참으라고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나 봅니다. 그 공수를 액면 그대로 풀면, 2년 안에 '고진감래'가 된다는 뜻이 아닙니까? 요즘 같이 '헬조선'이라는 말이 남발되는 세상에 2년 만 고생하면 된다는 말은 무척 희망적이지 않습니까? 2년 만 지나면 '파라다이스'를 만날 수도 있으니….

저는 이제까지 해왔던 것처럼 앞으로도 계속 천주교 성지 탐방을 할 것이고, 사찰 순례를 행할 것입니다. 또한 계속해서 우리나라의 무속신앙에 대해서도 공부할 것입니다. 왜? 저는 종교 다원주의자이기 때문입니다.

'2년 만 고생하라'는 공수는 입춘에 들은 덕담 정도로 넘길 생각입니다. 맹신은 금물입니다. 공수만 믿고 노력하지 않는 자에게는 있던 복도 달아날 테니까요. 그러고 보면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하루하루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에게는 공수도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그 자체가 복(福) 덩어리이기 때문입니다. 




* 아래사진은  박보살이 찍은 사진입니다. 박보살은 일월성신을 찍은 사진이라고 했고, 저는 UFO라고 했던 사진입니다. 일월성신이든 UFO든... 신기한 사진임에는 분명합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